식약처, 중국 밀수입 무허가 생리대 104개 품목 적발, 판매 금지 회수 조치 취해

[뉴스워커_김태연 기자] 중국에서 밀수입된 무허가 생리대 104개 품목이 적발돼 여성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안전처는 생리대 제조업체인 한국다이퍼가 중국에서 완제품 형태로 밀수입한 104개 품목의 모든 생리대에 대해 판매금지 및 회수조치 한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업체가 밀수입한 제품 대부분은 중국, 베트남 등으로 재수출됐으며 발암물질 생리대, 가짜생리대에 이어 무허가 생리대까지 난립돼 소비자 공포는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중국산 무허가 생리대가 적발돼 여성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_사진_김태연 기자]

◆ 가짜생리대 이어…‘무허가 생리대’까지 난립

26일 식약처에 따르면 국내 생리대 업체 한국 다이퍼가 중국산 완제품 생리대를 ‘의약외품’이 아닌 ‘공산품’으로 속여 허가 없이 국내로 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서울세관 조사로 드러나 의약외품인 생리대를 수입할 때는 식약처 허가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 이를 피하기 위해 품목을 허위로 기재한 것이 적발됐다. 회수대상 제품은 현재까지 104개 품목으로 확인됐다.

▲ 국내 생리대 파문이 확산되는 가운데, 일부 악덕업자의 중국산 무허가 생리대까지 판을 치는 사태에까지 이르게 됐다. <사진_김태연 기자, 그래픽_진우현 기자>

해당 생리대 업체는 중국에서 완제품을 들여온 뒤 대부분의 제품을 중국, 베트남 등으로 재수출하고, 일부 제품은 다단계 판매 조직을 통해 유통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현재 유통업계 등을 대상으로 정확한 유통 물량을 조사 중이다.
한국다이퍼가 국내에서 실제 제조한 정상 제품은 ‘육심원울트라슬림중형생리대’, ‘베어스토리스크릿대형’ 등을 포함한 23개 제품으로 국내 유통 중이다.
식약처는 “해당 업체 관할인 광주지방식약청에 해당 제품 회수를 권고 했으며, 이미 구매한 소비자는 사용하지 말고 구입처에 반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따라서 무허가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사용하지 말고 판매업체, 구입처에 반품해야 할 주의가 요구돼 발암물질에 이어 가짜생리대, 무허가생리대까지 나타나 소비자 불안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사태에 따른 소비자들의 의견 또한 공유돼 “이제 수입 생리대도 잘 골라봐야 하네요” “사실상 믿을게 없는 게 아닌가”하는 불신을 표한 가운데 생리대에 대한 불신은 고조될 전망이다.

◆ 생리대 파동 한달째,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 지원마저 끊겨

생리대 파동이 한 달째를 지나고 있음에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 생리대 지원 사업이 두 달째 끊긴 상태로 나타났다.
여성 청소년 생리대 지원 사업은 현재 일부 시‧도에서 시행중으로 지난해 불거진 ‘깔창생리대’ 이슈로 시작됐다.
하지만 전북을 비롯해 각 시,도에서 지난 8월 도내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에게 생리대를 지원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일부 지자체는 생리대 지원했다가 유해물질 파동이 불거지자 지원을 철회했다.
이에 따라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부분이 생리대를 지원받지 못했다.

전북일보 기사에 따르면 생리대를 지원받는 도내 만 11~18세 저소득층 여성청소년은 1만 1093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지난 7월 2억 3800만원의 추경을 세워 8월부터 12월까지 생리대를 지원할 계획으로 생리대 200여개를 1세트로 지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일부 지원을 계속 하고 있는 지역도 있지만 지난달 유해성 물질 파문 이후 대부분 회수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생리대가 전면 지급되지 않자 일부 지역에서는 보건소에 항의 전화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나흘에서 길게는 일주일까지 생리를 하는데, 여성청소년의 경우 비싼 생필품인 생리대를 구매할 여건이 되지 못해 당장의 생리대를 사용하지 못 하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 비싼 생리대 가격과 깔창생리대 이슈를 두고 갑론을박이 팽팽하다. “여성의 생필품인 생리대는 가격 조정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공공재로 둬야 한다”, “비싼 생리대 가격은 여성 선택권마저 박탈한다”, “애초에 가격이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입장이다.

◆ ‘지나치게 비싸다’, 생리대 가격 문제 꾸준히 문제 제기돼

우리나라의 생리대는 다른 나라의 제품에 비해 지나치게 가격이 높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여론 또한 생리대 가격에 꾸준히 지적을 제기해 왔고, 지난해 7월 3일 국내 여성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생리대 가격 인하 요구 시위’ 또한 서울 인사동에서 집회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유해물질 파동으로 생리대 가격 논란은 한번 더 도마에 올랐다.

실제 국내 생리대 가격은 10년 전보다 37%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문제가 제기된다.
통계청이 조사한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생리대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2분기 기준 99.60을 기록, 10년 전 2007년 2분기(72.463)보다 37.4%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생리대 가격은 지속적으로 급등해 온 것이기에 생리대 가격 지적은 일시적 문제가 아닌 것으로 지적된다.

실제 지난해 깔창 생리대 이슈가 보도되며 생리대 가격 문제가 제기되자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는 유한킴벌리 등 상위 3개 제조사에 대한 직권 조사에 나선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공정위는 원가변동에 따른 가격 변화만을 시장지배 사업자 지위 남용행위 규제 대상으로 삼고 있어 가격이 높은 것 자체를 규제하는 것은 현행법상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제조사 입장도 거론된다. 생리대는 여성 생필품이기에 수요가 많고, 판매경쟁이 치열해 각 유통채널마다 가격할인, 프로모션 등 진행이 잦다. 이에 소비처 가격이 유동적이기에 생리대 가격은 제조사조차 통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를테면 생리대 가격 조정이 불가피 한 것은 공급가와 무관한 소비자 가격이 책정되고 있다는 것이 골자다.

◆ 국내 생리대 불신에…만들어 쓰는 DIY 생리대까지 나온다

국내 생리대 불신이 가중되는 가운데 여성 소비자들은 유기농 생리대, 친환경 생리대 등 수입 생리대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지나치게 비싼 유기농 생리대 가격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수입생리대 업체의 경우 국내 일회용 생리대 중형 16p를 기준한 3,500원~4,500선의 가격에 비해 약 10배가 넘는 3만5,000원선으로 판매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생리대의 비싼 가격 책정은 수요가 많고 제조사 공급 또한 어려워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포털사이트 및 SNS에서 가격 부담과 유해물질 불안감에 생리대를 만들어 쓴다는 ‘수제 생리대’ 매뉴얼 또한 거론된다.
이는 화학물질에서 자유롭고, 안심하고 쓸 수 있다는 취지다.
직접 만든 DIY 생리대를 사용한 여성소비자의 말에 따르면 “가짜생리대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아무리 안전한 면 생리대라도 불안했다. 그래서 인터넷에서 매뉴얼을 보고 면 생리대를 만들어 쓰기 시작했다”며 “비용도 저렴할뿐더러 무엇보다 안심할 수 있다”고 긍정을 표했다.

생리대 파동은 유해물질 위험에 이어 가짜생리대, 무허가 생리대사태까지 초래된 상태다.
이른바 ‘소비재 딜레마’가 초래돼 여성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제대로 인지하기조차 힘든 난립된 사태가 연이어 쏟아지는 가운데, 진정한 여성을 위한 생리대를, 그리고 여성의 기본권을 보장할 수 있는 대책이 가장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