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커 기획_솟아라 우리산업] 제주반도체의 기술 유출 의혹과는 별개로 향후에도 이와 비슷한 논란은 계속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한국에 팹리스 기업은 다수 존재하지만 파운드리 기업은 DB하이텍이 거의 유일할 정도로 적기 때문이다.

물론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부문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삼성전자는 모바일용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주로 생산하고 최근에 와서야 GPU(그래픽 처리 장치)를 생산하는 등 사업 분야가 비교적 제한적이다.

▲ 팹리스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판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를 일컫는 말로, 종합반도체기업(IDM)과 달리 반도체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지 않다. 반대로 팹리스에서 주문과 설계 데이터를 받아 반도체 칩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파운드리(Foundry)라고 한다. <그래픽_황성환 그래픽 담당>

또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부문은 삼성전자 무선 사업부, 애플, 퀄컴, 엔비디아 등 대규모 물량을 발주하는 글로벌 기업들을 주로 상대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한국 팹리스 기업들이 이용할만한 국내 파운드리 기업은 DB하이텍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거의 유일한 파운드리 기업인 DB하이텍도 메모리 반도체 보다는 시스템 반도체 부분에 역량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에서 메모리 반도체 분야 파운드리 기업은 거의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메모리 반도체는 D램과 같이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반도체인 반면 시스템 반도체는 CPU와 같이 데이터를 해석, 계산, 처리하는데 쓰이는 반도체를 의미한다.

즉 반도체 생산 설비를 갖추지 못한 한국의 팹리스, 특히 제주반도체와 같은 메모리 분야 팹리스는 한국 파운드리 기업이 전무하다시피한 상황이기 때문에 거의 필연적으로 TSMC와 같은 해외 파운드리 기업과 협조체제를 구축할 수밖에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래에 한국 팹리스 기업들이 TSMC, UMC와 같은 파운드리 기업에게서 설계 용역 계약을 수주하던지, 혹은 역으로 위탁 생산 계약을 발주하던지 간에 제주반도체가 겪은 기술 유출 논란과 같은 사건은 언제든지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뉴스워커 기획_솟아라 우리산업] 한국 팹리스 생태계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③편은 2018년 9월 2일 오전 7시에 보도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