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커]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이 2일 확정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면담이 성사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3차 남북정상회담의 일정과 교착상태에 놓인 북미를 조율해 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은 특사단은 앞서 1차 남북정상회담의 ‘판문점 선언’을 이끌어 낸 특사단과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엉켜버린 한반도 평화의 실타래를 풀어낼 수 있을지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일 브리핑을 통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장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된 대북특사단 명단을 발표했다.

특사단은 앞서 지난 3월 1차 남북정상회담 직전 파견된 특사단과 동일하다. 하지만 당시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다녀온 특사단은 이번 방북에서는 서해직항로로 방북해 ‘당일치기’로 돌아올 예정이다.

▲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이 2일 확정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면담이 성사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3차 남북정상회담의 일정과 교착상태에 놓인 북미를 조율해 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은 특사단은 앞서 1차 남북정상회담의 ‘판문점 선언’을 이끌어 낸 특사단과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엉켜버린 한반도 평화의 실타래를 풀어낼 수 있을지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김 대변인은 협상 의제에 대해선 “이번 특사단의 주요한 안건중의 하나가 남북관계를 발전시키는 방향, 427 회담, 판문점 선언 포괄적 협의하는 내용”이라며 “제재에 위반하지 않는 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폭넓게 판문점 선언 내용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대변인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특사단과 김정은 위원장과의 면담 여부와 관련해선 “면담이 성사될 수 있을지는 아직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특사단-김정은 면담 여부는? 회동 여부에 방북 성과 달려

특사단의 김 위원장 면담 여부는 이번 방북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회동 여부에 방북 성과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김정은 위원장의 뜻을 직접 들을 수 있는 기회기 때문이다.

앞서 특사단은 지난 3월 방북 당시 김정은 위원장과 4시간 12분간의 면담과 만찬을 함께 한 바 있다. 당시 특사단은 4월말 판문점 정상회담 개최와 정상 간 ‘핫라인 구축’ 등에 합의했다.

특사단의 김 위원장 면담 여부와 관련해 전문가들도 다양한 견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만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박지원 “김정은이 안 만난다고 하면 크나큰 결례…만나야 된다”

대북전문가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김 위원장이 (특사단을) 안 만난다고 하면 그것은 크나큰 결례이고 진짜 남북 정상회담의 길로 가고 북미정상회담의 길로 가는 것에 대해 장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저는 확실하게 만나야 된다. 그리고 합의되니까 (특사단이) 올라간다고 생각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간곡한 (뜻이 담긴) 친서를 (특사단이) 가지고 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영철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역시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김혜영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일단 김 위원장과의 면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파견이 되는 것이고, 북한도 특사단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만날 생각이 있기 때문에 받아들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특히 특사단의 과제에 대해선 “북미간 협상이 교착된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기에 이루어진다”며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해서 북미간 교착을 풀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행위자가 우리 정부라고 하는 점 때문에 이번 특사단이 중요한 과제를 안고 방북하게 됐다”고 말했다.

우리 측의 특사단이 어떤 성과를 안고 올 지도 주요한 관심사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 취소 이후 침묵을 지키고 있는 북한이 어떤 메시지를 낼 지도 이목이 끌린다. 시기 상으로 정권 수립 기념일 70주년(9·9절)을 앞둔 북한이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자연스럽게 메시지를 꺼낼 계기가 특사단과의 만남이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이 계속해서 핵 관련 시설의 리스트 제출 여부를 압박하고 있기에 이와 관련된 북한의 입장과 비핵화 타임라인 구체화 등에 대해 북한이 어떤 메시지를 낼지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