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커_김태연 기자] 국내에서 3년 만에 고개를 든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확진 환자 사태 이후로 극심한 불안심리가 펼쳐지고 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은 현재까지 추가 확진환자는 나오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메르스 의심환자 전원도 1차 음성 판정을 받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중간현황 발표 내용에 따르면 확진환자는 9월 8일 메르스 양성 판정을 받고 서울대병원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에 입원해 안정적으로 치료 중이다.

▲ 3년 만에 다시 고개를 든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확진 환자 사태 이후로 극심한 불안심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래픽_황성환 그래픽 담당>

밀접접촉자의 경우 메르스 평균 잠복기 6일인 9월 13일 밀접접촉자 21명 전원을 대상으로 메르스 1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임이 확인됐다.

지난 3년 전 허술한 검역체계와 초기 대처의 미흡함으로 인해 수많은 환자가 목숨을 잃는 등 메르스 비상사태가 벌어진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다.

하지만 3년 전과 똑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라도 국민 안전을 위한 철저한 사후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인 만큼, 안전성을 속단하긴 어렵다.

또한 메르스는 1차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고 해서 얕잡아봐야 할 질병이 아니다.

지난 7월말 기준 국내 메르스 의심환자는 전국 131명으로 집계됐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국가는 현재까지 104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25명이 사망했다. 긴장의 끈을 놓치거나 세밀한 사후관리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심각성의 폐해가 큰 질병이다.

메르스 잠복기간도 간과해선 안 될 부분이다. 잠복기간이 최대 2주인 점을 감안하면 추석 연휴 직전 2차 메르스 확진자 출현 가능성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해야 한다.

추석의 경우 인구대이동 현상이 발생해 2차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원만한 의료 체계 가동이 힘들어 극심한 혼란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메르스 사태가 발생했던 3년 전 당시와 마찬가지라는 지적을 받는 허술한 검역체계는 대대적인 정비가 필요해 보인다.

확진자가 입국 전 검역 당국에 메르스 의심 증상을 설명했음에도 검역체계 허점이 이를 간과해 통과시켰다는 점을 들어 “검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무성하다.

사태 이후 감염관리 전문인력 충원, 별실구조 변경 등 의료체계 정비가 있었지만 메르스 감염 초기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검역체계는 여전히 건강상태 질문서와 검역관 문진에만 의존하고 있어 사실상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는 모습이다.

앞서 질병관리본부는 검역 시스템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을 고안해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인천공항 검역소 등이 싱가포르 창이공항을 견학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속한 메르스 감염 확인을 위해 비행기 공기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도 인지했지만 실제 정책에 반영되지 못해 검역 체계 현장에 적용되지 않았다.

적어도 초동 대처에는 적절했다는 평가가 나올 만큼 3년 전과는 달리 향상된 감염관리 제도지만 국민들의 짙은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완벽한 메르스 대응체계는 미흡한 게 현실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허술한 검역 체계 미비점을 보완하고 감염 관리 완성도를 높여 ‘메르스 종식 선언’을 통해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