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는 국가적 숙명에 가까울 정도로 피해갈 수 없는 흐름이다. 정부 역시 다문화 우대에 가까운 정책을 펼쳐나가면서 다문화사회에 발을 들이민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흐름에 신경 쓰는 모습이다. <그래픽_황성환 그래픽 1담당>

[뉴스워커_김태연 기자]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는 국가적 숙명에 가까울 정도로 피해갈 수 없는 흐름이다. 정부 역시 다문화 우대에 가까운 정책을 펼쳐나가면서 다문화사회에 발을 들이민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흐름에 신경 쓰는 모습이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은 90만 명에 달한다. 체류외국인은 200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대로 파악된다. 이미 다문화 가정 자녀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 학생 수를 처음 조사한 2006년 9,389명에서 매년 6~8천씩 늘어나 2014년인 8년 만에 7배가 증가했다.

한 학교에 다문화 가정 자녀가 두세 명 쯤 존재하는 일은 이제 그리 드물지 않은 일이라는 소리가 들려올 정도라는 점은, 한국 사회가 이미 다문화사회의 흐름을 탄 지 오래라는 대목이다.

다만 우리사회는 단일민족 프레임 속에 형성되는 집단 이기주의와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장벽을 허물지 못 하고 있다. 그로부터 생성되는 ‘차별’과 ‘다문화 낙인’이라는 문제도 쉽게 풀지 못 하는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2000년대 초반부터 이미 다문화 사회 정책은 지방정부에서도 골고루 시행되고 있지만 극명한 명암이 나타난다. 그 이면 중 한 면이 다문화 가정 자녀가 처한 학교 사회 속 왕따와 차별, 학교폭력 등 어두운 현실이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처한 학교 사회 위험 요인의 기폭제가 된 사건 중 하나가 최근 발생한 ‘인천 중학생 추락사’ 사건이다.

숨을 거둔 학생은 다문화 가정 자녀로 파악되었고 어릴 때부터 줄곧 인종차별로 인해 왕따 등을 당해왔다는 배경을 가져 이번 사건은 단순 또래 갈등으로 비화된 범죄가 아닌, 다문화차별 범죄로 바라보게 되는 시각이 짙다.

우리 사회가 다문화 가정을 바라보는 편견과 차별은 학교 사회에서도 고스란히 적용되고 있다. 한국인 학생들로 일컫는 ‘주류 집단’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억양과 외양의 차이를 편견으로 적용해 따돌림과 학교폭력을 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학교폭력의 유형보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처한 학교폭력은 더욱 심각성이 높은 사안이다.

일반 학교폭력이 단순 또래갈등이라는 특성을 안고 있는가하면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가해지는 학교폭력은 다문화에 대한 경멸과 문화 다양성을 철저히 배제하고 유린하는 집단의 이기주의가 반영되어 있다. 학교사회가 다문화 사회의 현실에 대한 교육적 대책을 마련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미 우리사회는 다문화 사회라는 현실을 부정하는 일이 어려운 것이라는 걸 인지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얼굴을 맞대 다문화우대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론 모자람이 있다. 학교사회 속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겪는 위험 요인을 해소할 교육적 수단과 해결책이 다문화 정책의 흐름 속에 깊이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다문화 현실을 반영하는 교육적 프레임을 선도해 아이들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다름’을 편견과 차별로 이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 더불어 사는 것의 흐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 새로운 교육적 지침을 앞세워 나가야만 한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도 우리 사회의 귀중한 인적 자원이자 미래 세대를 주도할 한 흐름이다. 이를 깊이 상기하는 학교 사회를 그려 나갈 정책이 우리 국가가 처한 다문화 사회의 흐름을 안정적인 기반으로 다잡아갈 수 있는 방도가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