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놓고 각종 설이 난무하며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곧 4차 남북정상회담의 개최이기 때문에 청와대는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그럼에도 구체적인 날짜까지 언급되는 등 김 위원장의 답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북측에선 별다른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고 있는 상태다. <그래픽_황성환 뉴스워커 그래픽 1담당>

[뉴스워커_남북정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놓고 각종 설이 난무하며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곧 4차 남북정상회담의 개최이기 때문에 청와대는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그럼에도 구체적인 날짜까지 언급되는 등 김 위원장의 답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북측에선 별다른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고 있는 상태다.

정치권에서는 18일과 25일 설이 나오고 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17일이 김정일 위원장의 기일이고 그 후로 약 20일까지 북한은 연말을 정산하는 총화가 있다”며 “그렇기에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18일에 오면 제가 만나면 업고 다니고 싶다”고 말했다.

◆ 18일이냐 25일이냐…정치권에서 활발히 제기되는 날짜들

18일 답방 설은 여권 관계자 발로도 수차례 보도된 바 있다. 박 의원의 말처럼 17일이 김정일 위원장의 기일이기 때문에 이를 지나서 온다면 18일~20일이 유력하기 때문이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5일설을 제기했다. 설 의원은 7일 불교방송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안에 오게 되면 크리스마스 무렵이 되지 않겠나”라고 전망을 밝혔다.

설 의원은 “저는 25일 전에도 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번 주까지 기다려보면 답방 여부가 결정이 되리라 생각한다”며 “와야 한다고 본다. 정말 좋은 기회인데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설 의원은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서울에 온다는 것은 전 세계에 대고 '나는 평화를 택하겠다. 저는 핵을 내려놓고 이제 평화와 경제 쪽으로 북한의 운명을 결정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라며 사실상 비핵화 선언이 될 것을 강조했다.

◆ 靑, 비밀리에 답방 준비한다는 보도도 나와…정부는 답방에 다소 ‘긍정적’ 반응

날짜 외에도 청와대가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을 비밀리에 준비한다는 보도도 나오는 상황이다. <조선일보>는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 갑작스레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등 핵심 참모들을 소집해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과 관련한 준비 상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임종석 실장은 이날 연차를 냈음에도 급히 청와대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은 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 등 해외 순방에서 돌아온 직후 김정은 위원장이 12월 12일~14일 서울을 방문토록 요청하는 공식 초청장을 북한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여기에다 북측으로부터 연내 답방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하지만 청와대는 부인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7일 오전 출입기자단에 문자메시지를 보내 “어제 대통령님과 실장, 수석 점심이 있었습니다만 북한 문제는 아예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순방을 다녀온 대통령께서 보좌진과 식사를 한 것이고 선약이 있었던 몇 분 수석은 참석을 못했다”며 “대통령께서 순방 후 국내 상황을 보고 받고 특정 주제 없이 자유롭게 의견교환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안건심사 회의에 참석해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가능성이 몇 퍼센트라고 보느냐’는 질의에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쉽지 않지만 가능성이 있다는 쪽으로 본다”고 긍정적인 해석을 내놓아 물밑에서 남북이 4차 정상회담을 위한 대화가 오가고 있음을 시사했다.

조 장관은 “북한이 9월 평양선언에 대한 합의사항의 이행 (의지를) 밝혀왔기 때문에 지금 여러 상황을 감안할 때 김 위원장이 답방이 (비핵화의) 중요한 계기가 되는 측면이 있어서 북측도 충분히 그런 측면을 고려하지 않겠나”라고 말하면서 북한의 답변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