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_황성환 뉴스워커 그래픽 1담당

고(故) 장자연 사건의 재수사가 시작되면서 관련 의혹이 제기된 인물들이 잇따라 검찰에 줄소환되고 있다.

재수사의 핵심 및 사법 처벌 마련 근간은 장 씨가 숨지기 전 피해 사실을 폭로한 문건을 일컫는 ‘장자연 리스트’가 될 듯하다.

장자연씨가 남긴 친필 문서에는 30명이 넘는 유력인사들이 언급돼 있었다.

다만 이중에서 일부 유력인사들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고, 리스트 자체만으로는 실체성을 판별하기 어려워 사법 처벌로 이어지는 관계성을 가려내기 위한 작업은 미궁 속에 빠져있는 상태다.

무혐의를 이끌어낸 유력인사 일부 중에서는 긴 세월 동안 보이지 않는 갖은 외압과 흔적 지우기 등 공세로 사건 관련성에서 일말의 불씨도 튀지 않도록 흔적을 지워 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에 와서는 장자연 사건을 재조명하고 유력인사와의 관련성을 보도하는 언론사들의 합리적인 의구심에도 법적 경고로 제갈을 물리는 현상도 관찰돼 주적심허(做賊心虛)가 연상된다.

이번 사건은 미투 운동을 표상하는 바로써 의미가 크기에 재수사를 통해 실체와 비실체의 간격을 좁혀 치열하게 진실을 사수해 나가야 할 것이다.

뉴스워커 시사기획② 실체성과 비실체성 맞물린 장자연 리스트…그럼에도 밝혀져야 할 ‘진실’ 편에서는 사건의 수사 과정과 언론보도 등을 토대로 장자연 리스트와 유력인사를 중심으로 특기할 만한 부분을 정리한다. <편집자 주>

◆ 실체성과 비실체성 얽히고설킨 ‘장자연 리스트’

[뉴스워커_김태연 기자] 장자연 사건의 핵심은 장자연 리스트에 등장한 인물이 누구였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그러나 장자연 씨의 소속사 대표, 매니저만 법적 처벌을 받고 문건의 인물들은 여전히 실체성과 비실체성이 얽혀 미궁 속에 빠져있다.

‘장자연 리스트’는 지난 12일 방영된 jtbc ‘뉴스룸’을 통해 다시 한 번 조명되고 있다. 고 장자연 씨의 동료배우 윤 모 씨는 장씨가 사망하기 전 자필로 남긴 문건과 관련 “별도의 리스트처럼 사람 이름만 적힌 종이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리스트 맨 위에는 ‘성상납을 강요받았다’는 문구가 있었다”며 문서의 실체성을 언급한다.

다만 윤씨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장자연 리스트에 나온 인물들이 구체적으로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문건엔 방송계 관계자, 언론사 고위 인사, 기업체 임직원 등의 직책과 이름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리스트는 사건 발생 직후 일명 ‘증권가 찌라시’ 형태로 포털 사이트에서 사건과 관련 의혹을 제기한 유력인사들의 실명이 돌기 시작한 것으로 구체적인 실체성을 확신하기엔 힘든 점이 있다.

2009년 4월 16일 검경 역시 문서에 거론된 유력인사 관계성에 대해 “문서의 진위여부에 대한 판단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경찰은 하루 뒤 17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조사 결과를 통해 입장을 번복, “국립과학수사연구소로부터 ‘고인의 필적과 문건의 필적이 동일한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도 “감정 문건은 사본이어서 100% 일치한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다만 사실상 같은 필적이나 다름없다”고 발표하기에 이른다.

장자연 리스트는 유력한 증거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경찰의 태도는 당시에도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유력인사의 줄소환을 앞두고 있으면서도 장자연 리스트의 실체성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일각에선 수사의지가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후 고인의 유족들은 숨진 장 씨의 필적과 문건의 필적이 비슷하다고 진술했다.

이를 토대로 리스트에 거론된 유력인사들을 상대로 유족들은 소송을 제기했으나 당시 경찰은 “범죄 혐의가 입증되어야 한다” 등 소극적 태도로 일관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사건의 중핵으로 떠오른 유명 언론사 C사의 이름들

사건 재수사 핵심인 장자연 리스트에 관련된 유력인사 30명 중 대다수는 실체성을 잃고 있다.

다만 ‘장자연 사건’ 연관 검색어로 떠오를 만큼 검경이 사건의 관련성에 가장 특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력인사 가운데 유명 언론사 C사 사주는 사건의 중핵을 짚어 나가기 위해 주목할 부분이다.

장자연 사건을 조사 중인 대검 진상조사단 보고서에 따르면 유명 언론사 C사의 B전무는 고인과 식사 및 술자리 등을 함께 한 것이 확인됐는데도 2009년 당시 검경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은 적이 없다.

B전무는 검경에 “술자리에 간 것은 맞지만 그 자리에 장자연 씨는 없었다”고 진술했다.

또한 복수매체에서는 C사 사주일가 형제들이 ‘장자연 리스트’에 언급됐다고 보도했지만 당시 검경은 C사 사주일가 B씨 형제들이 아닌 스포츠 매체 C사 사장 H씨가 장자연 씨와 만난 것으로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C사를 향한 의구심은 계속해서 증폭되는 상황이다.

지난 7월 9일 대검 진상조사단 발표를 전한 KBS는 “C사 사장이 장자연 씨와 수차례 통화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보도한다.

또한 KBS는 대검진상조사단이 “조선일보 모 간부로부터 해당 통화내역을 경찰 수사기록에서 빼려고 고생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C사 사주일가를 소환해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화내역이 사실일 경우 그 자체로 유력한 증거가 된다. 이에 C사가 통화내역 지우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사안이 사실이라면, 장자연씨와 C사와의 관련성 자체를 지우기 위한 시도로써 의구심을 제기할 수 있는 부분이다.

더불어 장자연 사건을 맡은 경기지방경찰청장이었던 한 경찰청장은 MBC ‘PD수첩’ 인터뷰에서 C사로부터 외압을 받았다고 폭로한다.

C사의 지속적인 ‘외압’이 관련성을 지우려는 시도로 계속해서 포착될 경우 진실이 어떻건 수사망을 조여 오는 상황을 자초한 것에 지나지 않는 셈이다.

대중들은 이미 장자연 리스트를 근간으로 밝혀지지 않은 진실을 되찾기 위해 사법정의를 실현하려는 의지와 각자의 합리적인 의심에 모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세상에 하나 둘 알려지고 있는 진실 앞에 사건과 관련된 유력인사들은 더 이상 손상되지 않을 명예를 위해서라도 외압으로 실체를 가리는 것이 아닌 진실을 실토하는 행보가 필요할 것이다.

※ 3부에서는 장자연 사건 재수사에서 필요한 검경의 역할 및 현재 수사 진행 과정에 대한 보도로, 고인의 억울함을 풀기 위한 재수사라는 마지막 보루에 초점을 맞춰 풀어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