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_황성환 뉴스워커 그래픽 1담당

[뉴스워커_남북정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일 거듭 ‘자력갱생’을 강조하면서,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줄곧 언급해 온 ‘새로운 길’이 경제건설 총력 집중 노선의 연장선상임을 시사했다. 일각에서 우려해왔던 대미 강경 노선으로 되돌아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11일 김정은 위원장의 주재로 전날(10일) 당 중앙위 제7기 제4차 전원회의가 개최됐다고 보도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결렬로 마무리됐던 하노이 회담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에 진행된 조미(북미)수뇌회담의 기본취지와 우리 당의 입장”이라고 밝히면서 “우리나라의 조건과 실정에 맞고 우리의 힘과 기술, 자원에 의거한 자립적 민족경제에 토대하여 자력갱생의 기치(를) 높이(고) 사회주의 건설을 더욱 줄기차게 전진시켜 나감으로써 제재로 우리를 굴복시킬 수 있다고 혈안이 되어 오판하는 적대세력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자력갱생과 자립적 민족경제는 우리식 사회주의의 존립의 기초, 전진과 발전의 동력이고 우리 혁명의 존망을 좌우하는 영원한 생명선”이라며 “당 중앙은 자력갱생의 기치 높이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하는 것이 우리 당의 확고부동한 정치노선이라는 것을 재천명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 대미 강경 메시지는 없어…핵 관련 언급도 하지 않아

다만 김 위원장은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처음으로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언급했지만 미국을 향해 강하게 비난하거나 핵에 대한 이야기는 꺼내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전원회의 결론을 내리면서 “당 조직과 근로단체 조직들에서 전체 당원들과 근로자들을 자력갱생 대진군에로 힘있게 불러일으키기 위한 정치사업을 드세게 벌여 온 나라가 새로운 혁명적 분위기로 들끓게 해야 한다”며 “당 중앙위원회 해당 부서들에서 내각의 사업을 적극 밀어주어 내각이 이번 전원회의 결정을 관철하기 위한 작전과 지휘를 잘 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원회의는 11일에 열리는 최고인민회의 제14기 1차 회의를 앞두고 열렸다. 10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정치국 확대회의에서도 김 위원장이 자력갱생을 강조했듯, 연일 같은 메시지를 강조하는 것으로 볼 때 북한은 경제건설 총력 집중 노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김정은, 사실상 트럼프 ‘겨냥’ 메시지…트럼프 반응은?

또한 이날 보도된 김 위원장의 전원회의 발언은, 한미정상회담 개최 바로 직전에 나왔다는 점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한 일종의 대미메시지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어떤 발언을 내놓을 지도 관심이 쏠린다.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 개최는 내부에서 큰 이벤트로 꼽힌다. 5년 만에 대의원들이 대폭 물갈이가 된 이후 열리는 첫 회의라는 점에서도 그렇지만, 비핵화 협상 교착 상태에서 열리는 커다란 내부 행사이기 때문에 김 위원장의 발언에도 당연히 관심이 모인다.

게다가 워싱턴에서는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일곱 번째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으면서, 북한과 미국은 같은 날 비핵화 문제에 대해 각각의 메시지를 발신할 것으로 보인다.

◆ 文대통령 워싱턴 도착…‘굿 이너프 딜’로 美 설득 가능할까

문 대통령은 한국시간으로 10일 오후 공군 1호기로 서울을 출발, 11일(현지시간) 오후 워싱턴에 도착하며 1박 3일간 방미 일정에 돌입했다.

문 대통령은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대면 만남에서 북한을 다시 비핵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두고 미국을 설득해야 한다. 문 대통령은 도착한 첫날 숙소에서 휴시을 취하면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강경화 외교부장관 등과 전략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11일 정오쯤(한국시간 11일 오전 1시) 백악관에 도착해 2시간 가량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정상회담, 확대정상회담 등을 통해 비핵화 전략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브리핑은 회담 종료 즉시 이루어질 예정이다. 문 대통령도 브리핑 이후 곧바로 귀국한다.

문 대통령은 이른바 ‘충분히 괜찮은 협상’ 즉 ‘굿 이너프 딜’을 중재안으로 꺼내놓고 트럼프 대통령 설득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비핵화 시간표에 대한 포괄적인 합의를 먼저 한 후 단계적으로 보상하자는 방안이다. 하지만 미국이 여전히 대북 제재와 관련해 ‘최대 압박 유지’ 기조를 보이면서 신경전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설득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