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난민, 수도권 외곽 이주로 전셋값 급등

박근혜정부 취임 1년간 수도권 신도시에 전셋값이 4억원이 넘는 고가전세가 47% 급증했다. 경기권도 41% 증가했다. 서울 전세난민들이 전셋값 급등으로 수도권 외곽으로 대거 이주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택형으론 구 20~30형대 중소형의 고가전세가 1년만에 74.0% 급증했다.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가 박근혜정부 취임 1주년을 맞아 수도권 4억원 초과 고가전세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35만7천2백3가구에 달했다. 이는 1년 전 26만4천2백37가구보다 26.0% 증가했다.

권역별로는 △신도시 47.2% △경기도 41.0% △서울 21.3% △인천 28.9% 등이다.

권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곳은 성북구다. 6백12가구에서 2천5백8가구로 늘어나 75.2%가 증가했다.

길음뉴타운9단지(래미안) 107~109㎡대(구 30형대), 길음뉴타운8단지(래미안) 111~112㎡(구30형대)등 길음뉴타운 일대 단지들의 전셋값이 오르면서 고가전세가 급증했다.

이어 강서구(1천4백34가구→4천9백66가구. 71.1%), 도봉구(1백60가구→5백52가구. 71.0%), 성동구(3천4백17가구→8천6백81가구. 60.6%), 강동구(3천8백43가구→7천99가구. 45.8%), 마포구(6천백82가구→1만1천2백97가구. 43.5%) 순으로 고가전세 아파트 크게 늘었다.

고가전세가 몰린 강남 3구는 강남구 14.6%, 송파구 12.9%, 서초구 10.7% 각각 증가하는데 그쳤다.

▲ 자료=닥터아파트
수도권 1, 2기 신도시중 고가전세가 가장 늘어난 곳은 광교신도시. 1년전 14가구에 불과했으나 2천1백12가구로 늘어나 99.3%에 달했다.

광교신도시도 입주 초기 낮은 전셋값을 보이다 재계약 시점에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광교자연&자이1,3단지(150㎡대. 구 40형), 광교래미안 170㎡대(구 50형) 등이 고가전세에 포함됐다.

이어 평촌(9백81가구→2천4백7가구. 59.2%), 분당(1만6천5백4가구→3만1천2백74가구. 47.2%), 판교(7천5백27가구→1만2천8백62가구. 41.4%) 순으로 고가전세가 늘었다.

경기도에서는 부천시 약대동 약대아이파크 208㎡(구 60형대)가 1년 새 전셋값 4억원을 넘어 10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의왕이(2백26가구→2천4백92가구. 90.5%), 고양시(2백40가구→1천6백68가구. 85.6%), 광명시(1천3백67가구→2천7백7가구. 49.5%) 순으로 고가전세가 늘었다.

□ 주택형별

주택형별 고가전세 증가세는 구 30형대가 9만9백34가구에서 14만6천7백59가구로 38.0%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어 구 20형대가 1만73가구에서 1만5천7백31가구로 36.0%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세시장도 중소형 수요가 몰려 고가전세가 크게 늘었다.

그 외 주택형은 40형대(8만1천3백8가구→10만5천4백16가구. 22.9%), 50형대(4만8천5백94가구→5만4천3백36가구. 10.6%), 60형대 이상(3만3천3백28가구→3만4천9백61가구. 4.7%) 순을 기록했다.

닥터아파트 권일 리서치팀장은 “오는 4월부터 4억원이 넘는 고가전세에 대해 주택금융공사의 전세보증서 발급이 중단될 경우 고가 전세입자의 매매수요가 늘어나 전셋값이 장기적으로 보합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