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환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자유한국당 대구 동구을 당협위원장)이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2016년~2018년 대학 기술 이전 현황’에 따르면, 서울대가 132억1,782만원(320건)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성균관대 124억5,522만원(385건), 고려대 105억4,070만원(314건), 경희대 92억7,451만원(211건), 포항공대 85억577만원(80건) 순으로 나타났다.

기술 이전 수입료 실적을 최근 3년간 연도별로 살펴봤을 때, 서울대와 성균관대가 꾸준히 좋은 성적을 보여줬다.

2016년 기준, 포항공대가 51억2,483만원(2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서울대 48억1,927만원(127건)으로 2위를, 성균관대가 38억1,765만원(117건)으로 3위를 차지했다. 고려대(4위, 36억9,122만원), 경희대(5위, 27억3,706만원)가 상위 5개교에 올랐다.
2017년 기준, 서울대가 41억7,166만원(10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려대 36억7,397만원(107건)으로 2위를, 성균관대가 36억2,205만원(156건)으로 3위를 차지했다. 연세대(4위, 29억8,936만원), 한양대(5위, 28억8,196만원) 순이었다.

2018년에는 국민대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2017년 7억2천만원의 수입료로 30위를 기록한 국민대는 2018년 57억8,477만원(78건)의 수입료로 1위로 올랐다. 성균관대는 50억155만원(112건)으로 2위를, 서울대가 42억2,688만원(88건)으로 3위를 차지했다.

대학의 기술이전 실적은 대학의 연구 역량을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로 기술이전 수입료를 통해 해당 대학이 보유한 원천기술의 실용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교수의 연구 결과는 논문이 되고 특허로 등록되는데, 이 중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은 기술은 기업으로 이전된다. 대학의 원천기술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적인 제품을 탄생시키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김 의원은 “지식재산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연구 결과가 기업의 생산성으로 연결되고 산업으로 축적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