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전 산업분야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항공산업과 이를 뒷받침해주는 항공제조산업은 고용악화 등 쓰나미급 폭풍을 예고하고 있어 정부의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픽 황성환 뉴스워커 그래픽1팀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전 산업분야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항공산업과 이를 뒷받침해주는 항공제조산업은 고용악화 등 쓰나미급 폭풍을 예고하고 있어 정부의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픽 황성환 뉴스워커 그래픽1팀 기자>

[뉴스워커 박수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입국 제한 조치로 전 세계 여객기가 뜨지 못하면서 항공기 부품 제조업계 또한 휘청이고 있다.

항공 제조업계에 따르면 세계 항공 민수시장(세계 시장의 80% 점유)은 향후 5년간 침체가 예상된다. 2020년 항공 산업 매출은 민수 23.2%, 군수 0.4% 하락이 예상된다. 항공사마다 코로나19로 운항 중단, 운휴하는 항공기가 늘고 있는 가운데 무리하게 신기재 도입을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주문을 취소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 여파로 세계 항공기 제작업체 에어버스·보잉 '휘청'


세계 항공기 제작업체인 에어버스와 보잉사도 코로나19 피해를 빗겨가지 못했다. 경쟁사 보잉의 737맥스 추락 이후 반사이익을 거뒀던 에어버스의 A320이 생산을 대폭 줄이기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2열식 A320 생산을 월 60대에서 40대로, 3열식 중형 기종 A350 생산도 월 10대 안팎에서 6대로 줄인다. 올해 40대를 생산하려던 대형 A330은 월 2대로 계획을 수정했다.

2018년과 지난해 잇단 두 차례 추락사고로 운항이 정지된 보잉의 베스트셀러 737맥스는 코로나19 충격까지 겹쳐 생산재개 시점을 예측할 수 없게 됐다. 보잉은 5월에 제한적으로 맥스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었지만 코로나19로 시애틀과 사우스캐롤라이나 조립공장을 폐쇄하면서 모든 계획이 유동적이 됐다.


코로나발 에어버스·보잉 '위기' 국내 중소업체에 직격탄..."매출 70% 이상 급감으로 인한 최악의 고용 위기"


글로벌 제조사의 사정이 이렇다보니 국내 사천지역 항공업체들이 피해를 직격탄으로 맞게 됐다. 대부분 보잉사의 737맥스 기종에 부품을 공급하던 업체들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보잉의 737 기종이 언제 재생산에 들어갈지도 모르고, 생산에 들어간다고 해도 국내 기업들이 부품 생산을 재개하기까진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해서다.

현재 사천지역에 뿌리를 내린 KAI와 항공부품제조업체는 전례 없는 연이은 악재로 전년 대비 매출이 70% 이상 급감하고 근로자들은 권고사직, 무급휴직, 임금삭감 등 최악의 고용위기에 빠져 있다.

또한 항공부품업체의 매출 감소와 대량 실직으로 사천지역경제마저 붕괴되면서 빨간불이 켜져 이 상태가 조금만 더 지속된다면 회복불능 상태로 추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달 22일 제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7대 기간산업’과 ‘특별고용지원업종’ 선정 시 항공분야에 운송만 포함되고 항공부품제조업은 제외시켜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비대위 "제조업 '7대 기간산업', '특별고용지원업종'에 포함시켜달라"


이에 항공제조업계에서는 국가 전략산업인 항공제작산업의 유지를 위한 선제적 대응 조치가 시급하다며 정부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항공제조업 생존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항공 부품 제조업체 50여 곳과 함께 항공 부품 제조업을 ‘7대 기간산업’과 특별고용지원업종’에 포함시키고 사천시를 ‘고용위기지역’과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해달라는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했다.

비대위는 "현재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유일한 혜택은 오는 6월까지 한시적으로 나오는 고용유지지원금뿐"이라며 "하도급을 받아 조업하는 국내 항공 부품 제조업체들의 특성상 원청업체인 항공사와 항공제조업체들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불안한 고용 상태는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항공 부품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사천시의 특성을 고려해 대규모 실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근 지역을 산업위기 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선정되면 기업과 소상공인은 정부로부터 금융 우대·세금 납기 연장 또는 세제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비대위는 "마지막으로 정부의 항공전력화 대상사업의 국내발주 확대 및 조기 시행과 같은 강력한 뉴딜 정책을 추진해 일감확보를 통해 대량해고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간곡히 건의 드린다"며 "막대한 자금이 투입된 항공 부품 제조 산업을 살릴 골든타임을 놓치면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그동안 쌓아온 노력은 물거품이 된다"고 호소했다.

한편, 황태부 항공제조업 생존 비상대책위 준비단장은 지난 15일 KBS에 출연해 "부족하지만 (항공제조업이 국가전략산업으로) 40여년 동안 정부에 보탬이 되었다고 자부한다"며 "이런 최악의 시기에 항공제조업체가 도산이 되지 않도록 (그동안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육성 지원해 준 것처럼 또 한번) 정부 지자체 유관기관들이 도와준다면 계속해서 우리나라 항공산업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