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_황성환 그래픽1팀 기자
그래픽_황성환 그래픽1팀 기자

[지금 북한은_뉴스워커]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로 인해 사이버 외화벌이에 나섰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해킹을 활용한 외화 벌이로 경제난 극복에 나선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북한의 한 해커가 패션 액세서리 체인업체 ‘클레어스’(Claire's)의 웹페이지에서 고객들의 신용카드 정보를 수 주에 걸쳐 훔쳤다고 전했다.

북한 해커는 올해 3월 20일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봉쇄령 때문에 클레어스가 오프라인 매장을 모두 닫자 몇시간 뒤 업체 이름과 유사한 ‘클레어스-애셋’(claires-asset.com)이라는 도메인을 확보했다.

이 해커는 이어 클레어스 웹페이지에 심어놓은 악성코드를 이용해 유사 도메인으로 개인정보를 빼돌렸다.


北, 세계 각국으로 해킹 시도…암호화폐 분야에도 관심


또한 북한은 작년 말 유럽과 중동 등지의 기업 직원들에게 리크루터로 가장해 접근한 뒤 이메일 정보를 빼돌려 다른 기업에 거짓 청구서를 보내는 등의 수법으로 외화를 가로채려는 정황도 적발된 바 있다.

영국 안보 싱크탱크인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의 케일라 아이젠먼 연구원은 “북한이 사이버 도둑집단처럼 움직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텔레그래프의 보도에 따르면 북한의 과거 사이버 절도 정황을 따지면 최근 발생한 사건은 ‘새발의 피’라는 지적이다. 앞서 북한 해커들은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직원들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인증서를 도용해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일련의 송금 요청을 보냈다.

이를 통해 북한은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계좌에서 8100만 달러(약 973억원)를 훔쳤다. 하지만 독일 은행인 도이체방크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에 발각돼 10억 달러(약 1조2천억원)를 가로채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북한은 최근 암호화폐를 통한 해킹 시도에도 나서는 등 수년간 해당 분야에 대한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도 전해졌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조직적인 해킹에 나서면서 외화벌이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외교안보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해킹을 시도한 흔적이 포착되기도 했다.


코로나19 인한 北 경제난도 가중될 듯…하반기도 어렵다는 분석 제기돼


한편 북한의 경제난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더욱 가중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통일연구원이 지난 10일 발간한 ‘최근 북한 시장의 물가 및 환율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북한 내 쌀과 휘발유 가격은 2월 초와 4워 말 급등락했다. 특히 쌀 가격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20% 이상 높아졌고, 휘발유 가격도 지난해보다 50% 가까이 급등했다.

북한의 경제난은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해 국경을 봉쇄하면서 대중 무역이 감소한 원인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북한이 1월 말부터 출입국 관리를 강화하면서 1분기 대중 수출과 수입은 각각 75.2% 5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또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북한 당국의 정책 변화도 시장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북한이 공채 일부와 무역허가권을 외화로 판매하면서 민간이 보유하는 외화를 흡수, 환율 변동성이 확대됐을 가능성에서다.

다만 연구원은 북한의 물자가 5월 이후 안정세로 보이지만 상반기에 생산활동이 위축되며 이같은 어려움이 하반기에도 따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최지영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대북제재 강화 이후 북한은 중국으로부터의 식량 및 농업 중간재 도입을 큰 폭으로 늘리는 등 제재의 부정적 영향이 확산되지 않도록 힘써 왔으나, 식량부족 국가이자 저소득 국가인 북한이 코로나19라는 전지구적 충격을 차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북한의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알려지기 쉽지 않으며 인도적 지원 역시 유엔안보리 대북제재 위원회의 면제 절차를 일일이 거쳐야 한다는 어려움도 있다”며 “북한의 특수한 상황을 감안하여 대북 인도적 지원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