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_뉴스워커 황성환 그래픽1팀 기자
그래픽_뉴스워커 황성환 그래픽1팀 기자

[뉴스워커_지금 북한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50여일 가까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의 ‘물밑 접촉’ 가능성 시사와 맞물려 고위급 회담 움직임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17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미국은 최근 뉴욕 채널을 통해 수해 복구 및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인도적 지원 등을 논의하기 위한 회담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 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은 <중앙일보>에 “미국은 최근 뉴욕 북한 유엔대표부 채널을 통해 비핵화 협상 재개와 코로나19 이후 식량난 등에 관한 인도적 지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대화 제의를 한 것으로 안다”라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북한이 아직 알맹이 있는 답을 주진 않았지만, 접촉은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대화 제의는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물밑 접촉’ 시사와 연결되며 주목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15일(현지시간) 워싱턴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과 화상 대담 행사에서 “북한에 대해 추가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가졌고, 여전히 낙관하고 있다”며 “공개적으론 조용하지만, 북한 사람들과도 어디에 기회가 있을지를 알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7일 그레이 TV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원한다면 다시 만날 것”이라고 했고, 10일에는 트위터에 “김 위원장은 건강하다. 절대 그를 과소평가하지 마라”고 언급했다.

또 다른 고위 소식통은 <중앙일보>에 “폼페이오 장관의 최근 두 차례 발언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 대해 주목할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며 “북한에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비공개 활동이 최근 활발해진 것과 연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여정, 8월 잠잠하다 최근 활발한 행보?…공식석상에선 아직


김여정 제1부부장은 지난 7월 27일 열린 제6차 전국노병대회 이후 자취를 감췄다. 그는 주요 업무 중 하나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전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7월에는 광천닭공장 현지지도에 나선 김정은 위원장을 수행했지만 8~9월 수해 피해가 극심한 현장 방문에는 동행하지 않았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한·미 당국은 지난 13일 김정은 위원장과 별도로 김여정 제1부부장이 태풍·수해 복구 현장을 방문한 사실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공식석상에서는 아직까지 김여정 제1부부장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불확실한 상황이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지난 4월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보선돼 상반기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 상반기에는 특히 대미, 대남 담화 발표를 통해 북한의 외교라인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국가정보원도 김여정 제1부부장이 국정 전반에 대한 ‘위임 통치’를 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사실상 김여정 제1부부장이 북한의 2인자 자리에 올라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간 물밑 접촉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김여정 제1부부장의 잠행이 북미간 회동을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전망은 미국 외교가에서 제기된 ‘10월 서프라이즈’ 가능성까지 불씨를 되살리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전문가들은 미국 대선 일정의 촉박함이나 북한이 수해 복구에 몰두하고 있는 점 등을 미뤄볼 때 극적인 만남이 성사되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북미 양측의 공식 접촉은 지난해 10월 스웨덴에서 열린 실무협상이 결렬된 뒤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북미간 협상 재개시 ‘중간 합의’ 필요하단 주장 제기


한편 미국의 민간단체인 ‘코리아 소사이어티’가 16일 ‘대북 외교 전망’을 주제로 연 화상 토론회에서는 북한이 무기 체계를 양적·질적으로 고도화 시키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북미간 ‘중간 합의(interim deal)’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앤킷 판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 개발, 미사일 탄두중량 증대 등 무기 체계의 ‘질적’ 개발을 막는 것이 중요하고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차기 미 행정부가 북한의 핵·미사일 역량 제한 축소를 위해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안을 고안하는 등 대북 접근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마커스 갈로스카스 전 국가정보국(DNI) 북한담당관은 북미협상 재개의 첫 단계에서 중요한 초점으로 북한 무기체계의 질적 개발을 저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갈로스카스 전 담당관은 양국 간 공식 협정에는 북한의 무기 실험 중단을 유도하는 장려책뿐 아니라 협정 위반 시 받을 수 있는 제재 등 추가 처벌이 명시될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북한이 이를 통해 추가 무기 실험에 관한 계산법을 변경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