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가 환경산업 시장 선점에 경쟁이 치열하다. 

안세창 환경부 환경산업과장은 “전세계 환경산업은 2020년 1조 16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환경산업을 우리나라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세계 공통의 저성장 기조 속에서 새로운 돌파구로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에너지신산업은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뜻을 함께하면서 자연스레 부상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선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에서 친환경 에너지 사용으로의 변화가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4조 달러, 수송·산업·빌딩 에너지 효율화 부문에 8조3000억 달러의 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12조3000억 달러의 대규모 에너지 관련 신시장이 창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세계 주요국들도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프랑스는 2012년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 취임 이후 새로운 법안인 에너지전환법을 제정해 신재생에너지, 전기 충전소, 친환경 빌딩 등 에너지 관련 34개 신산업을 국가 주요 산업으로 정해 발전 방안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지난해까지 전기차를 일반에 100만 대 보급했고,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8%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은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부문에 50억 유로를 지원하고 2020년까지 영국, 독일, 프랑스에 전기차 470만 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중국은 2020년까지 전기차 500만 대를 보급하고 전국 충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은 2017년까지 1700만 대의 스마트 미터(일반 가정에서 전기료를 시간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전력량계)를 보급하고, 총 68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을 승인할 계획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이러한 노력의 성과가 가시화됐다. 독일은 풍력, 태양광 발전으로 필요 전력의 60%를 공급하고 있고, 노르웨이는 전기차 판매 점유율이 33%에 이른다.

이어 한국도 나섰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천광역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공동으로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Global Green Hub Korea, GGHK) 2016’을 지난 9월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했다.

▲ 자료:미래창조과학부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환경·에너지 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전세계 유망 발주처를 초청, 프로젝트 상담과 상호 교류의 장을 제공한다.

환경·에너지 산업 분야 전시 행사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올해는 코스타리카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발주처 등 44개국 161개 발주처와 400여개 국내기업이 참석해 총 11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협력방안이 논의했다.

행사기간 중 ▲코스타리카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2억 달러) ▲루마니아 식수 및 폐수 인프라 프로젝트(4억 달러) ▲이집트 폐기물 처리 사업(1억 3800만달러) ▲에콰도르 쓰레기소각장 및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사업(1억 2000만달러) 등에 대한 1대1 상담이 진행했다.

또 글로벌 천연가스차량(NGV) 세미나, 한국형 기후변화대응 사업모델 세미나, 아람코 벤더등록 세미나 등 다양한 행사가 마련된다.

▲ 자료:미래창조과학부

환경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벤더등록 세미나에서는 세계 최대 국영석유기업인 아람코(Aramco) 관계자가 벤더 등록 방법과 절차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며 관심기업과 1대1 상담행사도 열렸다.

환경산업비전 포럼에서는 월드뱅크(WB)의 선임 환경전문가 안잘리 아차야(Anjali Acharya), ‘프로스트 앤 설리반(Frost & Sullivan)’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대표 마노지 메논(Manoj Menon)이 국제금융을 활용한 해외진출 방안과 세계 환경산업의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안세창 환경부 환경산업과장은 “전세계 환경산업은 2020년 1조 16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환경산업을 우리나라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앞으로도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