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들어간 홈플러스, 티메프 전철 밟을라...상품권 사용 막혀

CJ푸드빌, CGV, 면세점 사용 중단

2025-03-05     이형석 기자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지 하루 만에 위기에 빠졌다. 그간 홈플러스 상품권을 받던 유통업계가 줄줄이 사용 중단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제2의 티메프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는 이달 4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해 충격을 줬다. 홈플러스는 “최근 신용평가에 매출 증가와 부채 비율 개선 등이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며 “신용등급이 낮아져 향후 단기자금 측면에서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단기자금 상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3년 연속 1000억~2000억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5조4000억원 이상의 차입금이 있다. 이에 여러 신용평가사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낮추는 등 압박에 나섰다. 

서울회생법원이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바로 내리면서 당분간 숨은 돌린 모양이지만, 오는 6월 3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있고 기업 이미지가 악화했다. 그래서인지 홈플러스 상품권을 받지 않겠다는 업체가 늘고 있다.

5일 오전부터 CGV와 신라면세점, 뚜레쥬르, 빕스, 에버랜드, 용산아이파크몰 등이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을 중단했다. 홈플러스 상품권으로 결제된 금액의 회수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해질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다. 

홈플러스 상품권 [사진=홈플러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티메프 사태) 상품권을 두고 논란이 컸던 터라 애초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며 “향후 상황을 계속 주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의 말처럼 주요 제휴처들이 발 빠르게 대처한 까닭은 지난해 벌어진 티몬+위메프 사태다. 지난해 7월 발생한 티메프 사태는 큰 피해를 일으켰다. 소비자, 중간 판매업체와 더불어 정부도 1조6000억원의 지원금을 소모했다.

당시에도 논란이 됐던 것이 티몬과 위메프에서 판매하던 상품권이었다. 당시 해피머니와 문화상품권 등 소비자들의 피해 금액은 1조2000억원에 달했다. 판매자 대금 지급 지연에 소비자 피해를 지난해 겪은 만큼 홈플러스 상품권 제휴처들은 발 빠르게 대처한 것으로 보인다.

업체들이 사실상 손절에 나서면서 소비자들의 불안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한 소비자는 “티메프 때와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다”며 “큐텐그룹(티몬·위메프 모회사)처럼 MBK파트너스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를 두고 책임론이 강하게 일고 있다. MBK가 지난 2015년 홈플러스 인수 이후 알짜점포 정리 등 투자금 회수에 집중하다 적자 폭이 커졌고, 국민연금 등 일반 투자자까지 손실 위기에 놓이게 했다는 게 비판의 주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