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소액결제 피해 이어 서버 폐기 의혹까지...KT에서 무슨 일이? 

KT “소액결제 관련 KISA에 신고”

2025-09-09     이형석 기자

지난 4월 2600만명에 달하는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본 SKT에 이어 1400만명 넘게 가입한 KT도 해킹 피해 신고가 급증했다. 정작 KT는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아 향후 상황에 시선이 모였다. 

소동의 발단은 이렇다. 미국 보안전문지 프랙은 지난달 말 기사에서 북한 또는 중국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한국 정부 기관과 통신사 등 민간 기업을 공격했다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KT가 해킹당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국내에 확산됐다. KT는 부인했으나, 정치권에서 반대되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었다. 심지어 조사를 앞두고 KT가 서버를 폐기했다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소비자 불안이 커졌다.

KT 로고 [사진=KT]

더욱이 지난 주말 사이 일부 지역에서 KT 이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고 연이어 신고했다. 경기도 광명시와 부천시, 서울특별시 금천구와 영등포구 등지에서 피해 사례가 계속됐다.

심지어 한 유튜버는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까지 뚫려 가상화페 거래 사이트 빗썸 계좌까지 해킹당했다고 주장했다. 다른 이는 앱스토어 소액결제가 여러 건 발생했다고 하소연했다. 

논란이 시작된 지난 주말만 하더라도 KT는 소액결제 금액 축소 등 원인을 찾기보다는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했다. 주말 새 피해 사례가 계속 늘자 지난 8일 오후 결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해당 내용을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KT 소액결제 관련 사과문 [사진=KT]

KT 측은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으며, 이후 현재까지 추가적인 발생이 확인되고 있지 않다”며 “지금까지 신고 건들은 차단 조치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KT는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해 KT는 “고객 피해 발생 등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경찰 수사와 정부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조속히 원인이 규명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담당 정부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역시 SKT 해킹 사태처럼 KISA와 협력해 민간합동조사단을 꾸려 조사에 나섰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부분이 해킹당했는지 조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소비자 불편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