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없다던 KT 대국민 사과...하루 만에 말 바꾼 뻔뻔함에 소비자들 “대기업 맞아?”

11일 김영섭 KT 대표이사 대국민 사과

2025-09-11     이형석 기자

해킹 피해 의혹을 완강하게 부인했던 KT가 결국 사실을 인정하고 고개를 숙였다. 사고를 숨긴 것도 모자라 거짓말로 소비자를 기만한 데 대해 소비자들은 크게 분노했다. 

지난주부터 일부 KT 이용자들은 자기도 모르게 소액결제가 이뤄져 금전적 피해를 입었다고 신고했다. 당시 KT가 해킹됐다는 의혹이 퍼지던 시기라 사태가 주목을 받았다.

특정 지역에서 KT 통신망을 사용하던 이용자들이 피해를 본 터라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한 해킹이 의심됐다. 사태가 커지자 KT는 지난 8일 뒤늦게 소액결제 건과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 그러면서도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없다”고 호언장담했다.

10일 확인된 피해만 278건, 피해 금액은 1억7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KT 자체 집계 결과가 나왔다. KT는 일단 무단 소액결제로 인한 모든 피해액을 이용자에 청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이미 소비자 신뢰를 잃은 듯해 보인다. 소비자들은 “당연한 걸 생색 내냐”, “SKT가 선녀였다”, “위약금 면제해라” 등 격앙된 반응을 쏟아냈다. 일각에서는 KT가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 KISA에 신고하기 전 보상 약관을 고쳤다는 주장도 나왔다. 은폐 의혹이 있는 만큼 더 괘씸하다는 의견이 많다.

정부도 이번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KT뿐만 아니라 SKT와 LG유플러스 모두 전수조사에 나섰다. 다행히도 SKT와 LG유플러스에서는 동일한 피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와 시민들 압박과 계속된 의혹에 사면초가에 놓인 KT는 11일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김영섭 KT 대표이사는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 머리 숙여 죄송하다”며 “원인 파악 중이다”고 설명했다.

KT 김영섭 대표이사 [사진=KT]

KT는 자체 조사 결과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일부 이용자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유출 정황을 확인하고, 이를 11일 오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이용자 중 IMSI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이는 총 5561명이다. KT는 이날 오후 해당 이용자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한 사실과 피해 사실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 USIM 교체 신청 및 보호서비스 가입 링크를 문자 메시지로 안내했다.

아울러 KT는 유령 기지국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가입자 1만9000명 전원에 무료 유심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KT는 개인정보 유출은 절대 없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180도 말을 바꿨다. 대기업의 무책임한 행태에 소비자 분노가 들끓는 가운데, 지난 SKT 해킹 당시 이용자가 급감했듯 KT에서도 대규모 엑소더스가 예상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