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압박에 홈플러스, 폐점·고별세일·폐점보류...오락가락 행보에 소비자 어리둥절

지나친 훈수 지적 나와

2025-11-14     이형석 기자

지난 3월 갑작스러운 파산 신청으로 충격을 준 홈플러스가 8개월이 지난 지금도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상황이 정치권 압박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홈플러스 사태는 장기화 조짐을 보이며 업계는 물론 소비자도 주목하는 사안이 됐다. 최근 인수 매각처를 찾는 와중에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또 연장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지난 6월부터 다섯 차례나 미뤄져 오는 12월 말로 늘었다.

지난달에는 하렉스인포텍, 스노마드 등 두 곳으로부터 인수의향서(LOI)를 접수해 현재 인수합병을 추진 중이다. 다만 두 업체 모두 홈플러스를 인수할 자금 여력이 불분명하고 유동성도 좋지 않아 실제 인수는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 몸집 줄이기가 필요한 홈플러스는 일부 매장 폐점(경기 시흥점이나 서울 강서구 가양점, 경기 일산점, 울산 남구점)을 예고했다. 이에 여러 점포에서는 고별 세일을 안내하고 나섰는데, 최근 갑자기 상황이 바뀌었다.

홈플러스 일산점 고별 세일 진행 [사진=뉴스워커]

연내 폐점을 예고한 매장들은 돌연 폐점 보류 중이라고 입장을 선회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고별 세일은 진행한다고 밝혀 소비자들을 혼란에 빠뜨렸다.

갑작스러운 입장 변화에는 정치권 입김이 작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9월 19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간담회를 마친 후 김 원내대표는 “김병주 회장으로부터 매수자가 결정되기 전까지 15개 홈플러스 점포와 나머지 또 다른 점포를 폐점하지 않겠다는 확답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폐점 보류라는 후속 조치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물론 폐점으로 인한 실업자 보호를 위한 조치로 풀이되나 자금 확보가 중요한 홈플러스 입장에선 폐점을 못 하면서 기업가치에 변동이 생겨 가뜩이나 매각이 어려운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높였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치권이 개입한 사례는 더 있다. 정치권은 농협에 노골적으로 홈플러스를 인수하라고 요구했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홈플러스는 연간 1조8800억원 규모의 국산 농축산물을 판매하며 5만여 농·어가가 납품하는 유통망”이라며 “농협이 인수에 나설 경우 농민 판로 보호와 물가 안정, 지역경제 유지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농협의 내부 반발이 거셌고, 국정감사에 출석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이 연간 400억원씩 800억원 적자가 나고 직원 200명 이상을 구조조정했다”며 인수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정치권에서 홈플러스와 관련해 이래라저래라 마치 ‘훈수’를 두는듯한 상황이 오히려 홈플러스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