닷새 만에 또...쿠팡물류센터 50대 근로자 사망, 새벽배송 금지 여론 재점화하나
지난 21일에는 30대 근로자 사망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두고 업계와 정치권까지 뜨거운 가운데 대표적인 새벽 배송 기업 쿠팡에서 또 근로자가 사망해 시선이 집중됐다.
경찰에 따르면 26일 오전 2시 4분경 쿠팡 경기 광주 5물류센터에서 50대 남성 A씨가 갑자기 쓰러졌다.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해당 근로자는 전날 오후 6시부터 이날 오전 4시까지 근무하기로 예정돼 있었다.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 관계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회사는 유가족 지원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사인은 수사기관에서 부검 등을 통해 파악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고인은 지난 3월 계약직으로 입사해 최근 3개월간 평균 주당 4.8일 근무했으며, 평균 근무 시간은 주당 41시간이었다”고 덧붙였다.
쿠팡은 불과 닷새 전인 지난 21일에도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기 화성시 신동 동탄1센터에서 포장 관련 업무를 하던 30대 B씨는 당일 오후 10시 30분경 물류센터 내부 식당에서 갑자기 쓰러진 뒤 숨졌다.
일각에서는 30대라는 젊은 나이에 급사한 것을 두고 과로사 의혹이 제기됐다. 부검을 맡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는 다만 B씨의 사인이 지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구두 소견을 냈다.
지난 8월에는 경기 용인시 처인구 소재 쿠팡 물류센터에서 냉동창고 물품 분류 작업을 하던 50대 C씨가 쓰러져 숨지는 등 쿠팡이 본격적으로 성장한 이후 물류센터에서만 10명이 넘게 목숨을 잃었다.
지난 8월 사고 이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은 심야노동 근절을 거론하며 새벽배송을 금지하자고 제안했다. 택배업계, 소비자들 사이에서 거센 반발이 나왔고 심지어 택배기사들도 반대의 목소리를 냈다.
정치권도 움직였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새벽배송 금지 이슈를 두고 생방송 토론을 진행하기도 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결국 민노총과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던 민주당은 한발 물러섰다.
상황이 일단락된 듯싶었으나 연달아 발생한 사망사고에 다시 여론이 불붙을 조짐이다. 물론 새벽배송 유지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이 아직 많지만, 사고가 계속된다면 금방 뒤집힐 수 있는 만큼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