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를 좁은 공간에 가두고 스트레스를 주면서 학대를 가하게 된다면 많은 애견인인 사람들은 질타를 가하고 비난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는 강아지를 두고 생명을 가진 동물을 어떻게 억압할 수 있는지에 대해 판단을 하며 하나의 목숨과 감정을 가진 것을 근거로 들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강아지와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의 감정의 값어치를 다른 일반 동물의 그것과 어떻게 구별하여 따로 헤아릴 수 있을까. 일반 축산업으로 섭취하는 동물의 사육에 있어서도 그 동물의 감정을 따로 헤아릴 줄 알아야 한다는 이름하야 “동물 복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동물이 인간의 강제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려면 동물의 본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열악한 조건의 생활과 질병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넉넉한 공간이 가장 먼저 갖추어져야 한다. 동물이 행복하고 편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취지와 마찬가지로,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문가에 의하면 동물의 건강과 행복이 경시된다. 악조건으로 병들어 죽어가는 일이 생기거나 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약을 투입하게 되면 이 역시 그런 동물을 인간이 먹는 육류로 유통되게 된다면 인간의 건강에도 좋을 수 없다.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자라게 된 동물의 질병이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부 지원으로나 축산업의 현실상 동물들이 보다 넉넉하고 건강한 테두리 안에서 ‘동물 복지’ 인증 축산제품이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기본적으로 무조건 동물을 많이 몰아넣으려고 하고 좁은 면적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쉽도록 갇혀서 사육된 동물들을 기르는 것이 기본적으로 제한된 환경과 물리적 여건상 개선이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따르고 있다. 하지만 적당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전체 사육 가축의 수도 상당히 줄어들어야만 하는 문제가 생기고 그만큼 생산량도 감소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양성철 사무관은 “동물들이 건강하게 잘 살 수 있도록 면적을 더 확보해서 자리를 마련하고 청정 유지 가동 시스템을 더 투입하다보면 동물의 본능 대로 편안하게 풀어주고 키울 수 있어 더 건강하게 되는 만큼 출산량도 더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그만큼 면적과 시스템 비용을 생각했을 때 가격이 30프로 정도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양성철 사무관은 이어 “아무리 동물 복지를 실천하여 바람직한 사육 시스템을 거쳤다고 동물복지축산인증 스티커를 붙여 판매를 하긴 하지만, 실제로 동물복지보다는 실질 가격을 따지고 소비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동물복의 취지가 제대로 통할 수가 없게 되는 폐해가 생기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나로 마트 양재점에서 일반 고기와 동물복리축산인증 스티커를 붙인 고기를 비교했을 때 스티커를 붙인 고기는 거의 판매가 되지 않아 바로 판매를 접었던 사례가 있었다.

축산업 전체에 이 동물복리 시스템을 강제로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면 그만큼 이익에 어느 정도 손실을 봐야 하는 축산업자들의 거센 항의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염려해볼 수 있기에 강요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안 그래도 코로나 바이러스로 피해를 입고 있는 마당에서 더욱 그럴 일이다. 이런 동물 복리축산업의 의의에 대해서 많은 사람에게 제대로 알리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