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 추진한 한강 수상택시, 수상택시 승강장 접근성 및 환승 불편으로 사업 실패
소병훈 “정부, UAM 이착륙 시설 계획 미리 해두지 않으면 한강 수상택시처럼 실패할 것”
소병훈 “철도역사나 BRT 정류장처럼 UAM 이착륙시설도 환승 기준 신설하고, 각 지역별 주요 환승거점에 UAM 이착륙시설 계획 미리 반영해야”

최근 서울 등 도시인구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도심 내 혼잡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y)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이 “UAM 산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적은 요금, 적은 소음, 적은 환승시간 등 3가지 요인이 매우 중요한데, 각 지역별 환승센터 종합구상에 UAM 이착륙 시설 계획을 포함한 단 1곳에 불과했다”면서 “정부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에서 밝힌 UAM과 지하철·버스 등 기존 대중교통과의 연계교통체계 마련 계획을 보다 충실하게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경기 광주시갑)이 서울시와 경기도가 제출한 환승센터 종합구상 수립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정부가 서울시와 경기도에 구축 예정인 19개 환승센터 중 환승센터 종합(기본)구상을 수립한 9개 환승센터의 종합(기본)구상에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이착륙 시설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곳은 양재역 환승센터 단 1곳밖에 없었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작년 5월 발표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에서 ‘UAM 수직이착륙시설(Vertiport) 구축계획을 지자체 도시계획에 포함하겠다’고 했지만, 소병훈 의원 조사 결과 아직까지 도시계획에 UAM을 이용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장(Vertiport)이나 대규모 복합환승시설(Vertihub) 등에 대한 사항을 반영한 지자체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이에 소병훈 의원은 “정부가 민간 기업이 협력해서 좋은 기술을 개발하더라도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UAM 이착륙 시설에 대한 부지 확보와 구축 계획을 미리미리 해두지 않으면 과거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했던 한강 수상택시처럼 처참하게 실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 오세훈 서울시장이 총 38억 원을 투자해 추진한 한강 수상택시 사업은 2006년 사업 추진 당시 ‘하루 평균 이용객이 1만 9,500명에 이를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에도 불구하고 2017년부터 작년까지 하루 평균 이용객이 고작 17명에 불과했고, 연 이용객은 2017년 11,678명에서 2018년 5,909명, 2019년 5,153명, 2020년 2,125명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한강 수상택시 이용이 저조한 이유는 수상택시 승강장이 도시 중심부에서 너무 먼 곳에 위치하고 있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환승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이다.

특히 여의도에서 잠실역까지 수상택시로 이동하는 시간은 20분에 불과하지만 수상택시 이용객은 여의도역에서 여의나루역 수상택시 승강장까지 무려 24분을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또 잠실 수상관광콜택시 승강장에 내리더라도 잠실역까지 가려면 무려 37분을 걸어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UAM이 한강 수상택시 사업처럼 실패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주요 대중교통 환승시설에 UAM 이착륙시설 구축 계획을 미리 세워둬야 한다는 게 소 의원의 주장이다.

소 의원은 대중교통 환승시설에 UAM 이착륙시설 구축 계획을 미리 반영한 모범 사례로 양재역 광역급행버스 환승센터 계획을 꼽았다.

오는 2026년 개통 예정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 개통 일정에 맞춰 준공될 양재역 광역급행버스 환승센터는 현재 지하철 3호선과 신분당선, 69개 광역버스가 다니는 핵심적인 교통 거점임에도 불구하고, 양재역 3호선 도시철도, 신분당선 광역철도와의 환승 서비스 수준(LOS)은 E등급, 광역버스와의 환승 서비스 수준(LOS)은 F등급으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스페인 마드리드시의 사례를 참고하여 지하 1층과 지하 2층에는 각각 택시와 광역버스로 가능한 택시 승강장과 광역버스 승강장을, 지하 3층과 지하 5층에는 각각 지하철 3호선과 신분당선 승강장을, 지하 6층에는 GTX-C 승강장을 배치했다. 또 옥상에는 UAM 승강장을 배치하여 층간 이동으로 2-3분 이내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했다.

소병훈 의원은 “지난 2014년부터 신설되는 철도역사는 버스나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과 3분 이내 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게 되어 있고, 정부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하고 있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정류장 역시 다른 교통수단과 2분 이내에 환승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정부가 UAM 이착륙시설도 버스나 지하철 등 다른 교통수단으로 2-3분 이내 환승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신설하는 한편, 양재역 환승센터 등 각 지역별 핵심 환승거점에 대해서는 UAM 이착륙시설 계획을 미리 반영하여 본격적인 UAM 시대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