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 점포 감소 추세 그래프. (자료 금융감독원)

은행들이 지점을 줄여나가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가 제동을 걸고 나서 향후 은행권의 몸집 줄이기에 미칠 영향에 은행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앞서 KB국민은행은 지난 1020일 대규모 지점 통폐합을 예고한 바 있다.

영업점 24, 출장소 11개 등 총 35개 지점 통폐합을 추진 중인 국민은행은 최근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났다. 통폐합 예정 계획에 포함된 목포지점 폐쇄를 앞두고 지자체인 목포시가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서면서다.

시는 국민은행에 전달한 건의문을 통해 "목포지점을 애용하던 소상공인과 주민의 불편함이 매우 클 것"이라면서 "원도심 소상공인, 디지털 금융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금융취약계층 등의 편의를 위해 목포지점 폐쇄 재검토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은행권에서는 국민은행이 재검토를 받아들이기 힘들 것으로 봤다.

지점 폐쇄는 은행연합회에서 마련한 가이드라인(점포폐쇄 관련 공동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가이드라인에는 폐쇄에 따른 영향과 대체수단 적합성 등 평가가 담겨있고 외부 전문가 참여도 규정하고 있다.

시 요구대로 재검토를 통해 지점폐쇄가 보류 또는 취소될 경우 가이드라인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게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할 우려가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어도 지역사회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다"면서 "지점폐쇄 가이드라인 강화를 요구하는 노조 측의 목소리가 커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앞서 지난 2019년 국책은행인 한국수출입은행은 4개 지점(출장소 3) 폐쇄를 결정했다가 지역사회와 정치권 반발로 해당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당시 국책은행이라는 점에서 정치권 목소리가 크게 반영됐다는 말도 나왔다.

은행권에서는 앞으로 지점폐쇄가 더 힘들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디지털 전환·비대면 영업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영업점 축소는 은행권 공통의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노조와 지역사회에서 지점폐쇄는 결국 금융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 나온다. 경영 효율화만을 목적으로 한 지점 폐쇄는 안된다는 논리다. 다만 가이드라인 강화와 관련해 어디까지가 적정선인가에 대해서는 향후 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