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40억 원 투입, 3만 1천658ha에 361톤 공급
제초제 역할 대신… 영농비용 절감·노동력 해결 기대
전라남도는 벼 재배 농업인을 대상으로 논 잡초 제거를 위해 사업비 40억 원을 투입, 총 3만 1천658ha에 왕우렁이 361톤을 공급한다고 10일 밝혔다.

왕우렁이 농법은 대표적 친환경농법 중 하나다. 이앙 후 5일 또는 써레질 후 7일 이내 논 10a당 1.2kg의 왕우렁이를 투입하면 제초제 사용의 98% 효과를 보는 농법이다. 노동력 해결 및 경영비 절감에 보탬이 돼 친환경 벼 재배 농업인의 약 88.5%가 왕우렁이 농법을 활용해 친환경농업을 실천하고 있다.
왕우렁이는 물 속의 많은 잡초를 갉아 먹는 습성이 있어 피, 물달개비, 올방개 등 제초제 저항성을 가진 슈퍼 잡초까지 99% 제거한다. 제초제 사용보다 40~50%가량 영농비용이 절감돼 많은 농업인에게 각광받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1월 말 ‘왕우렁이 관리지침’을 마련 후 시군에 전파, 왕우렁이 관리 및 수거 요령 등 교육을 하고 있다. 또한 왕우렁이의 농경지 주변 자연 유출 방지 목적으로 왕우렁이 일제 수거(1~3단계) 기간을 단계별로 지정·운영해 농업인의 수거 이행 여부 등을 점검할 방침이다.
단계별 왕우렁이 수거는 1단계 왕우렁이 투입 전 4월 초까지 농수로를 집중 수거한다. 2단계 왕우렁이 투입 후 논물떼기 시점 및 장마철 등을 감안해 7월 중 농경지 및 농수로 집중 수거, 3단계 벼 수확 후 월동 방지를 위해 11월 농경지 및 농수로 집중 수거를 진행할 계획이다.
유덕규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왕우렁이 농법은 친환경농업 농가에 없어서는 안 될 농사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며 “논물 관리, 논둑 및 배수로 그물망 설치 관리 등 현장 지도를 강화해 왕우렁이를 통한 친환경농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적극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 전남도, 농업정책보험료 지원 1천946억 '역대 최다'
- 전남도-범도민추진위, 의대 설립 공모 추진에 공감
- 전남에서 배우 꿈 펼치세요
- 전남도, '여수·순천 10·19평화문학상' 첫 발
- 전남도, 고속도로 법면... '공익형 태양광 부지'로 재탄생
- 전남도, 봄철 유행 ‘성홍열’… 손씻기 등 안전수칙 당부
- 전라남도완도수목원, 12월 초까지 '숲 해설 무료로 운영'
-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 게류와 갑각류 전시 '눈길'
- 전남 농수산식품·화장품, '태국-인도 시장서 인기몰이'
- 전남도, '친환경퇴비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신청하세요
- 전남도, 으뜸인재 발굴해 '재능계발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