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부터 시군·한전·국립공원공단 등 유관기관 합동 점검
오염·망실·훼손 정비…추가 설치 필요 지역 조사 후 확대
전라남도는 봄철을 맞아 도민의 안전하고 즐거운 나들이를 위해 산과 들, 강, 해안가, 공원 등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를 시군, 한전, 국립공원공단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2일부터 일제 조사한다고 밝혔다.

국가지점번호는 도민이 쉽게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긴급구조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인명피해 등 사고 발생 우려가 있거나 빈도가 높은 등산로, 방파제, 수문, 철탑 등에 부여한다. 9천36개가 설치됐으며, 이 가운데 3천623개는 도와 시군에서 관리하고 5천413개는 한전, 국립공원공단, 산림조합 등 유관기관에서 관리한다.
이번 합동조사를 통해 국가지점번호판이 오염이나 탈색 등으로 훼손된 경우 설치기관과 협의해 정비하고, 추가 설치가 필요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국가지점번호는 도로명주소가 없는 지역을 최대 10㎞에서 최소 10m까지 격자방식으로 나눠 각 지점마다 한글 2자, 숫자 8자리를 조합해 10자리로 표기한다. 지점번호판은 정밀 측량으로 정확도가 매우 높다. 소방이나 경찰의 긴급 출동 시 위치 확인에 도움을 준다.
봄철 산행 중 산악사고 발생 시 주변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가 없어 신고가 어려울 경우 인근에 설치된 국가지점번호를 통해 신고하면 정확한 위치를 구조대원이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국가지점번호를 모를 경우 스마트폰으로 주소정보누리집에 접속해 나의 위치에 대한 지점번호를 조회하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에서 운영 중인 공간정보 참여마당에서도 국가지점번호 조회가 가능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유호규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도로명주소가 없는 산악 등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국가지점번호판 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김영록 전남지사, “출생수당 등 시·도 좋은 시책 국가정책화”
- 목포시, 새 관광명소 유달유원지 쾌적하고 안전하게 가꾼다
- 해남군, 청년 희망 키우는 “디딤돌 통장 가입하세요”
- 이게 바로 명품 보이스지...감정 휘몰아친 손태진 '옛 시인의 노래' 재조명
- 김영록 지사, 해상풍력 진흥·관광마케팅 등 유럽 순방길 나서
- 전남 교육가족,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성공 기원... 걷기 대장정 펼쳐
- 광양경제청, 대만 자동차부품업계 투자유치활동 전개
- 순천시, 제63회 전라남도체육대회 ‘종합우승’...2년 만에 재탈환
- 전남도, 과기부 'AI 융합 지능형 농업생태계 구축' 공모 선정
-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전복·넙치 최적 양식조건 찾는다"
- 전남도,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으로 지역 대표기업 육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