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순 가공·상품화 앞장…일자리 제공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전라남도는 6월 임업인에 담양 대나무 새순인 죽순을 가공·판매하는 박영수 담양죽순영농조합법인 대표가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박 대표는 담양의 대나무 산업을 ‘죽순’으로 유통·상품화하고, 죽순을 재배하는 임업인들의 판로 확보를 위해 2014년 담양죽순영농조합법인을 만들어 연간 30톤의 죽순을 수매, 가공·판매하고 있다.
또 (사)대숲맑은생산자협의회와 (사)대나무상품화사업단을 조직해 죽순의 비배 관리 및 가공 방법 개발, 판로 확보 등에 앞장서고 있다.
2004년부터 죽순 수매로 1천800여 명의 지역 일자리를 제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귀촌 및 임업인들에게 다양한 마케팅 노하우를 공유, 임산물 가공·유통을 통한 임가 소득 증대에도 앞장서고 있다.
박 대표는 죽순의 상품성 다양화를 위해 삶은 죽순, 죽순 추어탕, 대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화장비누와 세럼 등 미용 제품을 개발해 판매 중이며, 죽순 떡갈비, 죽순 모싯잎떡, 죽순 소시지 등 응용 제품 개발에도 매진하고 있다.
박 대표는 “지자체와 생산자, 가공자가 서로 상생협력을 통해 담양 죽순 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세계적 케이(K)-푸드 열풍에 힘입어 담양을 대표하는 대나무를 활용한 다양한 죽순 상품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도록 해외 수출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죽순은 6월까지 채취하며 대나무를 심은 후 4~5년이면 수확할 수 있다. 90%가 수분이고 식이 섬유 함량이 높으며, 단백질이 많고 칼륨 함량도 높아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인기가 있다. 씹을 때 질감과 향도 매우 우수해 건강 식재료로 식품시장에서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 무안군, 2024년 무안갯벌낙지 축제... 10월 26일~27일 개최 '확정'
- 장성군, 과수 농가 720ha 규모 돌발해충 방제 완료
- 파리에 1004섬 신안군 로고가?.. "유네스코 본부, 세계자연유산 신안 갯벌 전시"
- [포토] 전남개발공사 창립 20주년 기념... '전남 미래 100년 대도약 기원 퍼포먼스'
- 맛·멋·풍광 매력적인 전남으로 여름여행 어때요?
- 김영록 전남지사, “예측 뛰어넘는 기상상황에 대비해야”
- 전남도, 목포대·동신대 연합 '글로컬대학30 지정' 총력 지원
- 전남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사업 전국 최다
- 서울 광화문광장서 '전남 세계관광문화대전' 선포식
- 전남도, 김의 날 행사서 '으뜸 마른 김 톱10' 시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