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자치경찰위, 교통·생활안전 등 시민 설문조사
근절해야 할 범죄, 학교폭력→성폭력→아동학대 순
범죄 예방에 가장 효과적 활동은 경찰 순찰 강화
광주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는 맞춤형 치안정책 수립을 위해 ▲자치경찰 인식도 ▲교통 분야 ▲생활안전 분야 ▲아동·여성·청소년 등 사회적약자 보호 등 4개 분야에 대해 ‘광주자치경찰 인식도 및 정책수요 여론조사’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만 18세 이상 광주시민 100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신뢰수준은 95%, 표준오차는 ±4.4%p이다.
자치경찰에 대한 인식도 분야에서는 광주시민 41.1%가 자치경찰위원회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연령대별로 60대 이상이 56.5%로 20‧30대(3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교통 분야에서는 광주지역 교통체감안전 지수가 55.25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동구가 57.43점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민들은 교통에 가장 위협되는 교통수단으로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37%)를 꼽았다. 또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도로 구조 등 교통환경 개선(40.8%)을 꼽았으며, 경찰단속 강화(25.9%)가 뒤를 이었다.
생활안전 분야에서는 거주지역 생활안전도는 58.48점으로 조사됐다.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9.4%로 지난 2021년 1차 조사(14.1%) 때보다 감소, 생활안전에 대해 광주시민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했다.
또 광주시민의 59.9%는 범죄예방을 위해 경찰 순찰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했다.
사회적약자 보호를 위해 가장 시급하게 근절해야 할 범죄로는 학교폭력 등 청소년 범죄(60.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성폭력 등 성범죄, 아동학대 순으로 조사됐다.
사회적약자 보호를 위해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활동으로 피해자 보호와 지원(61.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가해자 재범 방지 대책 마련을 꼽았다.
안진 광주자치경찰위원장은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해 시민 의견 수렴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시책에 적극 반영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치안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홍보플랫폼 ‘모두의광주’에 커뮤니티서비스 ‘시민채널’ 오픈
- 광주시, ‘어린이집 보육교사 맞춤 지원’ 큰 호응
- 광주시-KB국민은행, 폐지 수집 어르신 지킨다
- 의료계 집단휴진… 광주시, '비상진료체계' 가동
- 광주시, '전세사기 피해지원' 304건 상담
- 광주시, 기업-공공기관 연결해 '제품 실증‧판로 확대' 지원
- 광주시, 220만평 '미래차산업 육성전략' 짠다
- 강기정 시장, 공직자에 감사편지... “많이 고맙다”
- 광주기업들, 소방공무원 자녀 장학금 기탁 잇따라
- [포토] 강기정 시장, 광주전남재향군인회 임원진과 간담회
- ‘광주다움 통합돌봄’ 1주년, 시민의 힘 더해 공동체회복 확장
- 광주시-노르웨이, 탄소중립‧친환경정책 협력
- 광주시, '한방난임치료' 7월까지 모집 연장
- 광주시, ‘자산형성 청년일자리 공제’ 본격 시행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대중 탄생 100주년 기획행사' 풍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