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기금 활용… 상급종합병원‧수련병원 진료공백 최소화
비상진료 의료인력 채용 인건비, 당직·연장근무수당 등 지원
광주시가 재난관리기금 40억 원을 긴급 투입, 의정갈등 장기화에 따른 진료공백 최소화와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한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2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들을 만나 “상급종합병원과 수련병원의 비상진료체계 강화를 위해 재난관리기금 4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긴급 투입 예산은 전공의 이탈에 따른 인력 유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련병원 4곳에 대한 비상진료인력의 채용 인건비, 당직·연장 근무수당 등에 38억5800만 원을 지원한다.
※ 전공의 수련병원 :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광주기독병원,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또 전남대학교병원‧조선대학교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의 1차 응급의료장비 구입비로 1억3700만 원을 투입한다.
광주시는 의사 집단행동 대응을 위해 비상진료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의료기관의 비상진료체계 여부와 필수의료 운영 여부 등 관계기관과 긴밀한 상황 공유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응급환자 발생 때 원활한 환자 이송과 전원을 위해 긴밀히 협조하는 등 의료기관 이용 불편과 진료공백 최소화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지난 13일 광주지역 응급의료 종합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광주시 응급의료지원단’을 구성했다.
응급의료지원단은 연말까지 지역 21개 응급의료기관이 하나의 병원처럼 가용 자원과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소방을 포함한 관계기관이 적극 참여하는 ‘광주형 원스톱 응급의료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의료현장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증·응급환자 등에 대한 응급의료체계 유지와 의료현장에서 시민의 곁을 지키는 의료진의 헌신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광주시는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시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광주시, 반려동물과 함께 ‘광주 펫크닉’ 개최
- 전남도-광주시-한전, 신재생에너지 확대 '맞손'
- 광주시, 공항통합이전 ‘당론‧3자대화’ 요청에 민주당 “대승적 합의 이끌어내겠다”고 약속
- 광주시, 개‧고양이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
- 광주시교육청, 중등 교과 아카데미 ‘호응’
- 41번째 월요대화, 광주 대표 산업 AI와 웹툰이 만나다... '웹툰이 인공지능 만나면 신박한 미래먹거리 된다'
- [포토] 강기정 시장, 광주노인회관 경로당지도자교육 참석
- 광주시, 영산강 상류에 생태습지 모델 만든다
- 광주시, 상업지역 비주거 의무비율 완화 추진
- 광주시, '제49주년 민방위대 창설 기념식' 개최
- ‘광주 사운드파크 페스티벌’ 가을밤 수놓는다
- 광주시, ‘민·관 드론운용단 경진대회’ 개최
- 세계적 반도체설계 기업 ‘에이직랜드’ 광주 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