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수확기 이전 재해 인정·피해조사 및 복구비 지원 요청
과거 지원 사례·일본식물방역협회 예측모델 등 논리 제시
전라남도는 정부에 폭염으로 확산된 벼멸구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하고, 수확기 이전에 신속한 피해 조사를 실시해 지원해 줄 것을 또 다시 건의했다고 2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벼멸구 피해면적은 1만 9천603ha로 추산된다.
폭염으로 인한 벼멸구 피해를 재해로 인정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한 것은 이번이 4번째다. 이번 건의 내용에는 정부를 설득하기 위해 과거 2014년과 2022년 벼 이삭도열병 등 병해충을 재해로 인정해 복구비를 지원한 사례를 제시했다.
또한 ‘일본식물방역협회’의 예측모델 등을 분석해 벼멸구 발생과 확산 원인이 올해 중국에서 다량 발생한 벼멸구가 7~8월 사이 국내로 날아왔고, 국내에 정착한 후 9월까지 이어진 폭염으로 급격히 증가했다는 논리를 새롭게 제시했다.
정광현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그동안 피해가 발생한 전북 등 타 시·도와 공동으로 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국회의원에게 지원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등 정부 설득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반드시 농업재해로 인정받아 농업인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남도 장애인 정보화 축제·경진대회' 성료
- 전남도, 규제자유 후보특구에 소형 이모빌리티 선정
- 전남도, 공익직불금 부당수급 차단... 실경작 여부 등 확인 '현장 점검'
- 2024년 전라남도 명장 모집... 최고 숙련 기술인, ‘전남도 명장’ 찾아
- 김영록 지사, 순천 묻지마 범죄 희생 학생... 조례동 분향소 찾아
- 전남도, 가을철 '불법어업 전국 합동단속' 실시
- 전남농업기술원, 수출농업 과정 등 10월 교육생 모집
- 전남 한돈인, 깨끗한 축산농장 확산으로 경쟁력 강화 다짐
- 김정희 교육위원장, '교육가족과의 격의 없는 소통의 장' 마련
- 김영록 지사, “벼멸구 피해 재해 인정·특별재난지역”... 또 다시 정부에 '촉구'
- 전남바이오진흥원, 복지유니온 업무 협약 및 케어푸드 포럼 개최
- 전남도, 기업도시 전략적 발전 방안 모색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