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 김헌동)는 복합물류단지 토지 임대, 가든파이브 상가 임대 등으로 2023년말 동남권 유통단지 현금 수지는 –1,016억원으로 분석됐으나, 공사가 보유한 복합물류단지 토지 및 가든파이브 상가 2,852호의 자산 가치 반영시 사업 수지가 2조3,705억원이 된다고 14일 밝혔다. 동남권 유통단지는 복합물류단지, 가든파이브, 활성화단지로 구성되며, 복합물류단지는 SH공사가 조성한 토지를 서울복합물류PFV에 임대하고, 가든파이브는 공사가 직접 상가를 건설해 분양 및 임대운영하며, 활성화단지는 토지를 민간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추진했다.
복합물류단지는 서울복합물류PFV에서 물류터미널, 배송센터 등을 운영하는 사업으로 2015년 공공-민간 합동형 프로젝트 파이낸싱(BOT방식)으로 추진했으며, 공사는 지분 출자(99.5억 원, 19.9%) 및 토지(14만7,112㎡)를 PFV에 임대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가든파이브는 SH공사가 상가 8,370호를 건설해 분양 및 임대했으며, 판매·문화시설 등 ‘LIFE’, 판매·문화·창고시설 등 ‘TOOL’, 아파트형 공장 등 ‘WORKS’로 구성돼 있다. SH공사는 현재 2,852호(34%)의 상가를 보유하고 있다. 활성화단지는 SH공사가 토지를 조성해 민간 매각했으며, 토지를 매입한 민간사업자는 업무·복합시설 등을 건설했다.
SH공사는 각 사업별로 사업 방식 변경시 현금 수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분석했다. 동남권 유통단지 전체(복합물류단지 토지, 가든파이브 상가 8,370호, 활성화단지 토지)를 공사가 현재 시점에 보유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자산 가치는 5조3,775억원으로 예상되며, 가든파이브의 경우 현시점에 건설할 경우의 사업비를 비교했는데, 사업비가 1조3,206억원에서 3조6,956억원으로 대폭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활성화단지의 경우 토지를 매각하지 않고 SH공사가 토지를 보유한 상태로 PFV 등에 토지를 임대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가정했는데, 보유 자산 가치 상승으로 사업성이 6,248억원에서 9,120억원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했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향후 용산 국제업무지구 등 신규 사업 추진시 일률적으로 분양·매각하는 사업 방식에서 탈피할 것”이라며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다양한 사업에 참여해 동남권 유통단지 사례처럼 유동성 및 자산 가치 상승을 고려해 직접건설, 매각, 자산보유(임대) 등 다양한 방식을 혼용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서울주택도시공사, 반지하 소멸 정책 적극 추진
- 서울주택도시공사, 환경 경영 선도기관 도약 박차
- 서울주택도시공사, 스마트라이프위크(SLW)에 ‘미래 주거’ 선보인다
- 서울주택도시공사, 노후공공임대 재정비로 장기전세 공급 확대
- 서울주택도시공사, 재개발임대주택 1,463세대 공급
- 서울주택도시공사, 고덕강일3 감리비용(원가) 14%만 분양가 반영, 공공-민간-분양가산정 간 제각각인 감리비용 산정기준 정상화 절실
- 서울주택도시공사, ‘2024 주민참여공연’ 개최
- 서울주택도시공사, “세곡2 공공(임대)주택 자산 가치 증가로 개발이익 대폭 증가”
- 서울주택도시공사, 장기전세주택 운영 성과 분석
- 서울주택도시공사, 2024년 2차 매입 공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