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공원 등 장소 맞춤 제공… 최대 1억 원 지원
기업 필요한 데이터 확보후 제품 개발·고도화 반영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시민체감형 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 13개사를 최근 선정, 10월부터 실증에 필요한 장소를 맞춤 지원한다고 15일 밝혔다.

광주시는 혁신기술을 보유하고도 실증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이들 창업기업들에게 도서관·박물관·미술관·공원 등 연령별·계층별로 많은 시민이 이용하는 장소를 실증장소로 제공한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고객의 불만족, 요청사항 등의 다양한 수요를 제품 실증단계부터 데이터를 축적, 제품개발이나 고도화에 반영해 제품 출시 이후 영업 이익 증대를 도모한다.
이번에 선정된 창업기업들은 과제별 최대 1억 원의 실증비용을 지원받으며 실증 완료 최종 평가 후 광주광역시장 명의의 실증확인서를 발급받게 된다.
선정기업은 ▲도서관 혁신 스마트 로봇 ‘모션어드바이저’ ▲거동 불편 환우 안전 이동 보조 기기 ‘엔트온’ ▲인공지능(AI) 피부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관리방법 제공 ‘닥터케이헬스케어’ ▲반려동물 인공지능 펫 하우스 ‘디어디어’ ▲그린수소 제조기술 이용 모빌리티 ‘이에스티솔루션’ ▲인공지능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력관리 시스템 활용 스마트벤치 ‘아이윌’ ▲심리치료 인공지능(AI) 공감대화 기술 활용 청소년 마음 상담기기 ‘넥스브이’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이용 어린이 미래교육 및 로봇 안내서비스 ‘서큘러스’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Iot) 온열의자 ‘넥스트테크’ ▲인터랙티브 확장현실(XR) 무인 부스 ‘이퓨월드’ ▲혼합현실 경험과 방탈출 서비스의 융합형 실감콘텐츠 ‘여행가자’ ▲가상현실(VR) 광주투어 관광게임 ‘일이육’ ▲케이팝(K-POP) 팬 네트워킹 스페이스 최애의 나라 ‘티슈오피스’ 등 13곳이다.
이번 선정은 외부 전문가와 홍보 서포터즈 ‘광체단(광주 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사업 체험단)’의 심사를 거쳐 ▲시민의 편의성과 효율성 ▲제품의 시장진입 가능성 ▲기술향상을 통한 미래가치 담보 ▲투자자의 빠른 이익실현 가능성 등 실증투자의 핵심적인 가치들을 평가해 선정했다.
광주시는 혁신기술 제품 실증을 위해 도시 전체를 시험무대로 제공하는 ‘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사업’으로 지난해 36개사를 지원해 매출액 85억 원 달성, 신규고용 56명, 국내외 판로확보 등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
올해는 지난 5월 선발한 자율형 11개사, 솔루션형 2개사에 시민체감형 13개사를 추가해 올해 총 26개사의 창업기업에 실증을 지원, 광주시 곳곳을 시험무대 삼아 혁신기술 실증을 진행한다.
주재희 경제창업국장은 “광주시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창업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시민체감형 실증지원을 통해 기업은 고객의 수요를 충분히 파악하고, 시민은 실증에 직접 참여해 창업기업 지원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광주다움 통합돌봄, ‘혁신 우수·정부혁신 왕중왕전’ 본선 진출
- 농수산식품‧주류‧차문화 한자리에... 호남권 최대 ‘광주식품대전’ 열린다
- 광주시 '노동자권익보호위원회' 출범… 양대노총 참여
- 광주시, ‘도시농부 어울림 한마당’ 연다
- 광주시, 플랫폼 이동 여성노동자 쉼터 지원 ‘인기’
- 광주시, 환경오염 배출사업장 민·관 '합동점검'
- 광주시, “부마와 오월, 함께 하겠습니다”
-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 광주서 열린다
- 광주시, 김치축제서 시민과 함께하는 ‘안전캠페인’
- 광주시, “광주호 호수생태원서 인생사진 만들어요”
- 광주형 문화ODA ‘아시아 문화탐험대’ 성료... 6개도시 청년예술가, 광주서 "문화‧도시재생 실험"
- 광주시, “10월 리노바이러스 급증… 각별 주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