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81억 투입해 노후 된 학교시설 개축 완료
올해 개교 100주년을 맞은 장흥 대덕초등학교가 전남형 공간재구조화사업을 통해, 미래교육공간으로 새 단장을 마쳤다.
자연 친화적 교정, 탄소 중립을 실천하는 친환경 시설, 마을과 연계성을 높인 열린 학교의 공간 구성이 눈에 띈다.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총 사업비 81억 원을 투입해 대덕초등학교의 공간재구조화 사업을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간재구조화사업은 기존 ‘그린스마트스쿨’의 명칭을 바꾼 것으로, 40년 이상 된 노후 학교시설을 개축해 미래형 교육과정 실현이 가능한 5대 핵심 요소(▲공간혁신 ▲스마트교실 ▲그린학교 ▲학교복합화 ▲안전한 학교)를 갖춘 지속가능한 학교로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대덕초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하 1층, 지상 2층, 2,052㎡ 규모로 새롭게 탄생했다. 특히 태양광 발전 시설, 고효율 LED 조명 등을 설치해 에너지 절약에 앞장섰으며 학생들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도 구축했다.
특히 학교 중정 공간을 도서관과 이어지도록 꾸며 놀이와 학습이 자연스레 병행할 수 있도록 했으며 교실 천정고를 높여 개방감을 줬다. 학교 건축물은 주변 생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해 조성했으며 학생들의 잔디정원과 옥상 텃밭은 놀이 활동‧생태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중 교육감은 “대덕초등학교 공간재구조화사업 준공은 전남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여는 의미 있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모든 학생들이 최고의 교육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남교육청, 교육공무직 업무담당자 ‘소통과 치유’ 연수 실시
- 전남교육청, 일반직공무원 5급 승진대상자 19명 발표
- 전남교육청, ‘모로코 교육정보화 지원사업’ 연장 업무협약 체결
- "역사 교과서 여순사건 '반란' 표현 삭제…왜곡 바로잡아"
- 전남교육청, 지역‧학교‧학급 특색 반영한 ‘맞춤형 2030교실’ 조성
- 전남교육청, '디지털 기반 학교 정보화' 지원 본격화
- “전남 유초등 수석교사들, 수업 전문성 강화 힘 보태다”
- 영호남 교육 교류 10년... “지역 맞춤 교육으로 잇는다”
- 전남교육청, 늘봄 및 방과후학교 강사 역량 강화 연수 운영
- 전남교육청자연탐구원, 생태문화체험 전시회 개최
- 전남 유초등 수석교사, ‘학생 주도성 키움 수업’ 노하우 공유
- 전남교육청, '늘봄학교 체험형 숲 교육 프로그램' 확대
김홍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