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활동 성과 공유 및 네트워킹의 장 '2024 창작의과정 크리에이티브 라운지' 개최
시각, 다원, 문학, 공연 분야의 창작의과정 참여 예술가 70여 명 참석
예술가의 창작 실험과 도전을 지원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의 ‘창작의과정’이 올해 참여자들의 창작 활동과 성과를 공유하며 막을 내렸다.

“안전한 실험실” “고정관념을 깨는 도전” “평소 딸이 그토록 다니고 싶었던 학원을 통 크게 끊어준 엄마” 등 이번 사업에 참여한 예술가들이 창작의과정을 표현하는 말은 다채로웠다.
올해 창작의과정 사업은 문학, 시각예술, 공연예술, 다원예술 분야에서 151명의 예술가와 단체를 선정해 지원했다. 이들은 연구, 리서치, 워크숍 등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실험하며 한 해를 보냈다.
다양한 활동 성과를 공유하고 예술가 간 네트워킹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22일부터 23일까지 성수 센버스에서 열린 《2024년 창작의과정 크리에이티브 라운지》에는 예술가 및 단체 70여 명과 예술지원본부장, 시각다원예술팀 등 내부관계자 20여 명이 모였다. 각 팀은 1년간의 창작 과정에서 얻은 성과와 노하우를 공유하고, 다른 예술가들의 사례를 들으며 새로운 영감을 얻기도 했다.

오프닝 세션에서는 무늬만 씨어터, 분기탱천, 팔꿈치의 활동범위 등 세 팀이 각자의 작품 창작 과정을 시연하며 참신한 아이디어가 실제로 구현되는 순간을 보여줬다.
이후 1부에서는 각 팀의 창작 활동과 향후 계획을 공유했으며 2부에서는 예술현장에서 마주한 현실적인 고민을 키워드별로 나누어 자유로운 네트워킹 시간을 가졌다. 더불어 일부 리서치 책자, 전시 도록 등 연구 및 제작 결과물을 전시하기도 했다.
팔꿈치의 활동범위 팀은 “창작의과정 사업 덕분에 작품을 확장할 수 있었고, 이번 겨울에는 아시테지 축제에도 공연을 올릴 수 있게 됐다”며 “다른 예술가와의 교류를 통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는 소감을 전했다.
창작의과정은 결과물에 중점을 두지 않는 지원사업으로, 코로나19나 개인적인 상황 때문에 중단하거나 깊이 연구하지 못했던 작업들이 다시 빛을 볼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늬만 씨어터 팀은 “다음을 위한 시도와 실험을 마음껏 해볼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관객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은 다른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됐다”며 “창작의과정 사업에 참여하면서 조금 더 과감해지고, 자유로워졌다”고 말했다.
예술지원본부 류재수 본부장은 “올해로 창작의과정 사업은 마무리되지만, 한강 작가, 김아영 작가와 같은 예술가들이 세계적인 무대에 오르기까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의 지원이 뒷받침된 것처럼 창작의과정 사업에 참여한 여러분께서도 이 경험을 발판으로 삼아 도약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2024년 창작의과정 사업에 참여한 예술가들의 이야기는 11월경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예술위, '문화예술진흥기금 재원 안정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
- 아르코 무용기획제작 '아르코 댄스&커넥션' 4작품 4무대
- 예술위원회,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을 통해 '아동문학의 가치를 전하는 특별 강연' 열어
- 예술위, ‘공연예술창작주체’... 11월 주요 공연 소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청렴시민감사관’ 3인 위촉
- 예술위 나주시 이전 10주년 기념 기획공연 ARKO PICK, 어린이·가족 위한 발레 ‘피터팬’ 성료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극장에서 열리는 청소년 예술진로 프로그램 '대학로 꿈잼학교'
- 취약계층 예술 향유 시스템의 마중물 '다온', 2024 문화 디지털혁신 및 문화데이터 활용 공모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4년 여가친화인증기관'으로 선정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신진(예비)예술가를 위한 '예술가의 아카이빙 워크숍'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