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위원회 성과로 내·외부 근로자 근로환경 개선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외부 민원인의 폭언·욕설·성희롱 등 방지를 위한 사전고지시스템 및 녹음·녹취 기능을 전사적으로 도입했다고 5일(화) 밝혔다.

민원 응대 보호시스템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조치 등)에 따라 민원 응대 근로자 보호를 위해 전화 연결에 앞서 보호조치 및 통화 내용이 녹음될 수 있음을 자동 안내하고 녹음·녹취 기능을 제공한다.
KISA는 위험성평가* 결과, 다양한 부서에서 민원 응대로 인한 근로자의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주요 유해·위험 요인으로 나타나, 118상담센터 등 기존의 민원 대응 부서에만 적용되던 민원 응대 보호시스템을 전사 확대 도입했다.
* 위험성평가: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에 따라, 근로자가 부상이나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감소 대책을 수립해 실행하는 과정
민원 응대 보호시스템 전사 확대 도입은 산업안전보건법과 안전보건 경영시스템에 따라 실시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지난해 노조 측 안건으로 처음 논의됐으며 올해 6월 ‘안전보건경영방침’에서 강조한 KISA 공동체(근로자 및 관계 수급인) 모두를 위한 안전보건 조치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KISA 이상중 원장은 “이번 민원 응대 보호시스템 확대 도입으로 더 나은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내·외부 근로자 보호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내·외부 근로자들의 안전을 살피고, 보다 안전한 근로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포토] KISA, 물품 기증으로 '사회적 경제기업 활성화' 지원
- KISA, 9개 기관과 ‘빛가람 안전보건협의체’발족
- [포토] KISA 경기정보보호지원센터, 2024년 경기정보보호협의회 개최
- KISA, 행정안전부 주관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 획득
- KISA, 미주개발은행(IDB)과 중남미 디지털 안전 및 협력 강화
- KISA-카카오, 연말연시 대비 '사업자 개인정보 보호 교육' 실시
- KISA-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중미 지역 대상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및 지식 공유' 협력 추진
- KISA, ‘그놈 목소리’를 학습한 AI로 보이스피싱 예방!
- KISA,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 프로젝트 연계 통합 해커톤 개최
- KISA, 빛가람혁신도시 '공공기관 간 인적자원개발' 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