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원대 투입된 스마트기기, 전자칠판 보급 등 졸속 행정
“미보급 스마트기기 방치 심각”... 학교마다 쌓여있어
광주광역시교육청이 디지털 교육 전환을 앞두고 1,000억 원 이상 들여 추진 중인 주요 사업들에 대해 졸속 행정이라는 질타가 이어졌다.

조석호(북구4) 광주시의원은 8일 시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학생들의 수요조사 없이 무리하게 추진한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은 전형적인 예산 추계 실패 사례다”며 지적했다.
조 의원은 “학교마다 50~200여 대씩 태블릿PC가 방치되어 있다는 제보가 계속 들어온다”며 “미보급 방치된 스마트기기로 인해 막대한 예산이 사장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전자칠판 보급률은 10% 정도로 현저히 낮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올해 예산 120억 원 중 40억 원이나 내년으로 이월해야 할 안타까운 상황이다”며 전자칠판 보급 사업의 방만한 계획과 소극적인 사업 추진에 대해 지적했다.
시교육청은 2022년부터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으로 교육용 태블릿PC, 노트북, 충전보관함 등을 초·중·고등학교에 보급하고 있다. 2022년 선도학교 8억 원, 2023년 중·고등학교 646억 원, 2024년 초·중·고·특수학교 254억 원 등을 투입했으며, 내년에도 120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관련기사
- 광주시, '대학생 소셜벤처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광주시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서 ‘최우수’ 쾌거
- 명진 시의원, “교육발전특구 사업 차질 없이 추진” 해야
- 광산구 - 더불어민주당 지역위... '정책협의회' 개최
-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위원회 개최 현황 자료 조작과 허위 수당 지급” 의혹
- 정다은 시의원, 남성 외면하는 '양성평등정책' 지적
- 홍기월 시의원, “학교 주차장 주말․공휴일 개방 확산시켜야”
- 유찰 거듭한 광주 지하철 2호선… 7·10공구, 끝내 '재설계'로 전환
- 북구, ‘인도네시아․싱가포르’ 시장 개척... ‘1천 85만 달러 수출계약’ 맺어
- 김용임 시의원, 지하철 ‘역명 병기’ 사업 시작부터 관리 부실
- 정다은 의원, “아동․청소년들에게 ‘빚’ 이 아닌 ‘빛’이 되는 광주가 되기를”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