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 시군·주민·어촌계·유관기관·기업 등 해양쓰레기 수거
연안 정화의날 운영… 환경보호 인식제고·자발적참여 유도
전라남도가 동절기를 맞아 15개 연안 시군에서 청정 전남 바다 실현을 위한 대대적인 연안 정화 활동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15개 연안 시군: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고흥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이번 정화활동은 15개 연안 시군 주관으로 주민, 어촌계, 유관기관, 기업 등 2천여 명이 참여해 해안가에 방치된 폐스티로폼, 폐어구, 일회용품 등 각종 쓰레기를 일제히 수거하고, 해양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캠페인도 함께 추진한다.
주민들과 어업인들의 환경 보호 인식을 제고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전남도는 올해 매월 연안 정화의 날을 운영, 11월 현재까지 약 1천834명이 참여해 총 40회의 정화활동을 실시하고, 119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깨끗한 해양환경 조성과 더불어 지역민과 관광객들에게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김현미 전남도 해운항만과장은 “전남은 다도해, 리아스식 해안, 갯벌 등 천혜의 바다 환경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해양쓰레기 유입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며 “주민, 어업인이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매월 연안 정화의 날 운영 활성화로 미래 삶의 터전인 청정전남 바다를 가꾸고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난해 4만 2천 톤(전국 13만1천톤 대비 32%)을 수거하는 등 해양쓰레기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오고 있다.
올해도 해양쓰레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약 4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해안·부유·침적 쓰레기 신속 수거·처리, 배출·자원화 기반시설 확충, 도민 인식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전남도, 지역민과 대형산불 피해지 '숲 회복' 활동
- 전남도, 겨울철 위기가구 적극 발굴해 지원
- 전남도, 적극행정 경진대회... ‘대통령상’ 받아
- 전남도의회 이철 부의장, ‘2024 지방의정대상 최우수상’ 수상
- 전남 한우, 전국대회서 연달아 입상… '명품 입증'
- 전남 경영자포럼서 '중대재해 발생 예방' 논의
- 김영록 지사,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국립의대 등 '현안 건의'
- 전남여성가족재단 – 전남 4개 호텔‧리조트, 업무협약 체결
- 전남도, 대한민국 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점 박차
- 전남도, 강진 청자‘大平명’ 양각해석류화문와 문화유산 지정
- 전남도, '화장품산업 유럽시장 진출 확대' 머리 맞대
- 전남 노인돌봄 종사자, '동절기 어르신 안전' 온힘 다짐
- '전남 사랑애 서포터즈' 혜택 대폭 확대
- 전남도, '가축방역위생 시책' 종합평가서 나주시 대상
- 전남도, '여성폭력 없는 사회' 실천 공감대 확산 나서
- 문금주 의원 대표발의, 농업·농촌·농민 살리는 '민생입법' 본회의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