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한우농장서 발생… 출입통제·소독 등 긴급 방역조치
전라남도는 여수 소재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이 발생함에 따라 긴급 방역조치를 취하고 확산 차단에 온힘을 쏟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발생농장은 한우 45마리를 사육하는 농가로, 8일 공수의가 소 1마리에서 피부결절(혹) 등 임상증상을 확인, 여수시에 신고했다. 전남도는 의심증상 신고에 따라 확산 차단을 위해 긴급방역 조치를 취했으며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검사 결과 9일 오후 9시 최종 양성으로 확인됐다.
전남도는 의사환축 확인 즉시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초동방역팀(2명)과 도 현장조사반(2명)을 해당 농장에 투입해 외부인·차량의 농장 출입을 통제하고, 양성축 격리 및 임상관찰, 소독 등 긴급 방역조치를 취했다.
전남도는 최근 개정된 방역조치에 따라 양성축의 살처분을 유예하고, 농장 내 격리 후 28일간 임상관찰 등 강화된 방역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 ① 농장 내 전파 차단을 위한 분변 제거, 방제‧소독 강화 ② 격리 축사 매개곤충 유입 차단(방충망 설치 등) ③ 임상검사(주 2회) 및 정밀검사(주 1회) 등

또한 발생지역 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위해 공동방제단 99개단 및 시군 보유 소독차량을 총동원해 소독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발생농장 반경 5km를 방역지역으로 설정, 소 사육농장 27호에 대해 이동제한과 임상예찰을 했다.
정광현 전남도 축산식품국장은 “럼피스킨이 확산하지 않도록 소 농가에서는 해충 방제와 농장 출입통제, 소독 등 차단방역을 강화하고, 의심증상이 관찰되면 가까운 방역기관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9일 현재 전국적으로 소 럼피스킨은 7개 시도 23건이 발생했다. 시·도별로는 경기 5, 강원 7, 충북 3, 충남·경북·대구·전남 각 2건씩이다.
- 전남 신재생 에너지 선도기관, 지역인재 육성 '앞장'
- 전남도, '여성폭력방지시설 종사자' 역량 강화
- 전남도, 13일까지 인권 문화 확산위한 '인권 주간' 운영
- 전남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관리사업' 우수
- 전남도, 유기농업자재 지원으로 친환경농업 실천 확산
- 고흥군, 2024년 청년공동체 성과공유회 12일 개최
- 고흥군, ‘2025 청년 어촌정착 지원사업’ 대상자 선정
- 전남농기원, 양파 신품종 개발·가공 등 '고부가가치화' 가속
- 전남도, '결핵환자 발생 감소' 머리 맞대
- 전남도, '정신건강증진사업 우수사례' 확산 나서
- 전남도, '5억그루 나무 심기' 속도
- 전남도, 트럼프 2.0시대 '지역경제 활로 모색'
- 전남도, 6개 시·도와 ‘지역별 차등 요금제’ 머리 맞대
- 전남도, 무역의 날 행사서 수출탑 등 시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