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최태종 교수 연구팀이 도메인 간 차이를 극복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반지도 학습 기반 도메인 적응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인공지능 분야 최고권위의 학술대회에서 내년 2월 발표를 앞두고 있다.

기존 도메인 적응 연구는 소스 도메인(훈련 데이터)과 타겟 도메인(테스트 데이터)의 분포 차이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존 네트워크는 이미지의 부분적 특성이나 전역 관계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지 못해 객체를 정확히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HiGDA(Hierarchical Graph of Nodes)는 이미지의 세부 영역과 전체 패턴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계층적 그래프 모델이다.
먼저, 로컬 그래프는 이미지를 작은 패치로 나눈 후 인접 패치 간의 관계를 학습해 객체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고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한다. 이어서, 글로벌 그래프는 각 이미지를 하나의 노드로 보고, 같은 카테고리 내 노드 간의 관계를 학습해 객체 간 전역적 특징을 강화한다.
또한 연구팀은 Graph Active Learning(GAL) 기법을 통해 타겟 데이터의 잠재적 레이블을 예측하고 학습에 반영함으로써 도메인 간 불일치를 줄이고 성능을 개선했다.
Office-Home, DomainNet, VisDA2017 등 다양한 벤치마크 데이터셋 실험 결과, HiGDA는 기존 기술을 크게 상회하는 성능을 보였으며 도메인 적응 분야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해당 연구 논문은 Ba Hung Ngo(전남대학교), Doanh C. Bui(고려대학교), Nhat-Tuong Do-Tran(국립양밍자오퉁대학교)와 최태종(전남대학교) 교수가 저자로 참여했으며 과기정통부 데이터사이언스 융합인재 양성사업과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 논문은 인공지능 분야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The 39th Annual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AAI)’ 2025 국제 컨퍼런스에서 내년 2월 발표될 예정이다.
- 전남대, '정부재정지원사업 합동 성과포럼' 개최
- 전남대 지능형모빌리티융합학과 학생, 한국자동차공학회장상 수상
- 전남대 5.18연구소 ‘자유의 폭력’ 주제 철학 강연
- 전남대 김진철 교수팀, 친환경 미생물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 전남대 유석봉 교수팀, '악천후에도 자율주행 가능한 3D 탐지 기술' 개발
- 호남대 간호학과, 전남대병원에 기부금·헌혈증 전달
- 전남대, 기말고사 간편식으로 학생 응원 ‘눈길’
- 전남대 홍창국·이옥란 교수 연구,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전남대 배정환 교수, ‘인공지능인의 날’ 광주광역시장 표창
- 전남대 박인규 교수팀, 나노입자로 혁신적인 간암 치료법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