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 명칭 개선 및 호칭 관련 차별적 요소 제거를 통한 수평적 조직 구현
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은 직무와 역량 중심의 수평적 조직문화 구현 노력의 일환으로, 창사 이래 계속 사용해 온 연공서열 성격의 직급 명칭과 호칭 체계를 전면 개편 한다고 24일(화) 밝혔다.

그동안 한전은 위계적인 성격의 ‘숫자 표시 직급(1직급~6직급)’을 사용해 왔으나, 직무 중심의 HR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직급 명칭을 직위와 직무 중심으로 개편했다.
* (기존) 4(가)직급–4(나)직급–5직급–6직급 ⟹ (개선) 선임-일반–현장·기술-전문·사무
또한, 기존에는 직원 호칭 상향(주임→대리→과장)에 소요되는 기간이 직급에 따라 상이하여 조직 내 보이지 않는 위계질서가 존재했으나, 호칭 체계 개선을 통해 호칭 부여 기준을 일반직(기존 4직급) 대졸 입사 수준으로 통일하여 직급 간 불필요한 차이를 제거했다.
* 입사 10년차 전문․사무직(기존 6직급)의 호칭은 ‘사원’이나, 입사 4년차 일반직(기존 4직급)의 호칭은 ‘대리’임
더불어 수직적 조직문화 타파를 위하여 사내 시스템에서 동료직원 검색 시 표시되는 정보를 기존의 불필요한 숫자 표시 직급 표기 대신, 실질적으로 협업에 필요한 직군(무슨 일을 하는지) 과 호칭(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표기로 대체했다.
* (기존) 6직급 박전기 ⟹ (개선) 사무기술담당 대리 박전기
이외에도 한전은 직원 간 직급, 연공서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여, '직무'와 '역량' 중심의 수평적 조직을 구현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21년에는 공공기관 최초로 최상위직급인 1(가)와 1(나)직급을 통합하여, 기존의 익숙한 관행에서 탈피한 능력과 성과 중심의 수평적 조직으로의 전환 기반을 마련했다.
’22년부터는 수행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등 직무의 가치를 반영한 ‘직무경력 Index’를 승진 심사 시 도입하여, 수십 년 동안 이어졌던 연공서열 중심의 승진 문화를 탈피했다.
앞으로도 한전은 공기업 특유의 딱딱하고 수직적인 조직문화를 벗어던지고, 직무 기반의 유연하고 수평적인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한전, 2024년 해외사업 역대 최대 투자회수액 3천억 원 이상 달성 전망
- 한전KDN, 지속적 ESG경영 실천으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상 수상
- 한국전력 감사실, ISACA와 ‘디지털 재난 예방 및 IT분야 내부통제 강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한전KPS, 이웃사랑 성탄 선물 ‘산타원정대’ 활동 펼쳐
- 포스코그룹, 2025년 정기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단행
- 한전KPS, 겨울철 전력피크 비상대응 점검회의 개최
- 한전KPS, 농촌 어르신 위한 안전․편의용품 지원
- 한전KPS, 경로당 노후 에어컨‧TV 교체 지원
- 정동희 이사장, 한파 대비... 제주지역 겨울철 전력수급상황 '특별점검' 시행
- 한전KDN, ‘국민소통 참여단’ 해단식 개최
- 한전, 감사원 자체감사사항 콘테스트... '대상' 수상
- 한전,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자·유가족 지원' 나서
- 한전, 임시주주총회에서 안중은 상임이사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