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물김 폐기량 5,690톤 , 마른김 활용시 158만속 생산

KMI 조사 결과 , 폐기김 물량- 마른김 환산시 183억 원 예상

마른김 · 조미김 간 부가가치 1.9배로 350억 원 이상

“김 비축 통해 비생산시기 사용방안 검토해야”

최근 해수온이 물김 양식에 적정 수준으로 유지돼 대폭 생산량이 늘어 바다에 폐기하는 문제가 발생한 가운데 , 버려진 양만큼 가공했을 경우 100억 이상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국회의원 (영암 ‧ 무안 ‧ 신안)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국회의원 (영암 ‧ 무안 ‧ 신안)

지난 24년 10월부터 25년 2월 7일까지 물김 폐기량은 5,690톤으로 지역별로는 ▲진도 2,283톤 ▲고흥 1,462톤 ▲해남 799톤 ▲군산 208톤 ▲기타 938톤 순이다.(해양수산부 제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국회의원(영암 ‧ 무안 ‧ 신안)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KMI)에게 의뢰하여 '25년 1월 1일부터 2월 7일까지 마른김 도매가격을 환산한 결과에 따르면 폐기 물김의 가격은 37억으로 , 이를 마른김으로 가공시 5배가량인 183억 원 8,818만 원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마른김 1 속은 물김 4kg 으로 최근 폐기량 5,690톤을 마른김으로 환산한다면 158만속 이상 생산할 수 있었다 .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특히 지난 '16년 전라남도가 추진한 ‘국립 김 산업연구소 설립 · 운영 방안 연구’ 에 따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부가가치 차이는 1.9 배로 폐기 물김을 조미김으로 전환했을 경우 356억 원이상의 이익을 낼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서삼석 의원은 “물김 폐기량을 비축하여 마른김으로 환산할 경우 5배가량 이익을 낼 수 있었을 것이며, 이를 조미김으로 활용했을 경우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며, “기후위기로 해수온이 급변하기 때문에 김 비축에 대해 검토하여 비생산시기인 4~9 월에 사용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