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놀이 환경 조성, 사업취지 벗어난 집행 다수’
광주시 교육청의 학교 전출금예산의 집행과 관리가 부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광주시의회 김나윤 의원은 8일 광주시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미래형 놀이 환경 조성 사업처럼 전출금 사업들에서 사업취지를 벗어난 잘못된 집행이 많다”며 “예산만 보내놓고 무관심하지 말고 취지에 맞는 집행이 될 수 있게 철저히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미래형 놀이 환경 조성 사업은 사업지침서에서 ‘AR, VR 멀티미디어 학습장치’를 통한 실감콘텐츠 위주의 환경 조성 목적이며 태블릿 구입에 대해 ‘유아 1인 1기기 사용이 아닌 협동 활동용’으로 하라고 유의사항을 고지했다”며 “하지만 멀티미디어 학습 장치를 구입하지 않고 교구만 구입한 곳이 있고 다수의 태블릿을 구입한 유치원들이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10개 이상 태블릿을 구입한 유치원은 20개원이며 이들이 구입한 태블릿 합계는 261개로 전체 태블릿 구입수인 486개의 절반을 넘는 수치다”며 “이 외에도 유치원 한 반의 유아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이 구입한 유치원도 17곳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김나윤 의원은 “이 사업은 시행 때부터 시범사업 없는 전체시행 및 계약에 대한 문제 등 여러 이슈가 있었고 학부모들의 영상기기 사용에 대한 걱정이 많았던 사업이다”며 “교육청 스스로 정한 유의사항도 지키지 않은 집행으로 학부모의 불안만 키워놔 적절한 사용제한 및 운용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는 유사 전출금 사업을 진행할 때 사업취지에 맞는지 철저히 검토하고 충분한 의견을 수렴해 진행하고, 미래형 놀이환경 조성사업도 만족도 조사에서 나온 여러 의견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 서임석 시의원, 글로벌영어방송(GGN)의 부실행정... 특혜 연달아 강하게 비판
-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예견된 '개통 지연'... 상황 공개하고 사과해야
- 명진 시의원, “교육발전특구 사업 차질 없이 추진” 해야
-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위원회 개최 현황 자료 조작과 허위 수당 지급” 의혹
- 빛고을 농업인 한마당잔치 열려... 9일 시청 야외음악당
- 김용임 시의원, 지하철 ‘역명 병기’ 사업 시작부터 관리 부실
- 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2024년 광주광역시 청년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실시
- 광주환경공단, 효천하수처리장 분리막 교체사업 '공방'
- 박미정 시의원, ‘기업탄소액션’ 기업 자발적 참여... 탄소중립 ‘첫걸음’
- 이스포츠 사업 답보상태... 특색있는 정책 필요하다
- 광주시의회, ‘연탄없는 도시 조성’ 간담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