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기후변화 예측 및 대응 위한 토양수분 측정 프로젝트에 공동연구 파트너로 참여… 동아시아권 토양습도측정위성(SMAP) 임무의 정밀도 조정 및 검증 맡아

연구장비 설치 위해 내년 3월경 NASA 연구·기술자 GIST 방문 예정… NASA·JPL 과학자 초청 세미나 정례화 등 GIST-NASA 협력 내실 다져

지구 생태계의 수분 분포도를 파악해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를 예측하는 것은 지구의 에너지 순환에 대한 이해와 농업 생산성 향상을 통한 식량 안보 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GIST 환경·에너지공학부가 10월 8일(화) 오룡관에서 NASA(미국우주항공국)/JPL(제트추진연구소) 소속 과학자 4명을 초청해 NASA의 토양수분 관측 위성 관련 연구와 임무를 소개하는 세미나를 개최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IST 환경·에너지공학부가 10월 8일(화) 오룡관에서 NASA(미국우주항공국)/JPL(제트추진연구소) 소속 과학자 4명을 초청해 NASA의 토양수분 관측 위성 관련 연구와 임무를 소개하는 세미나를 개최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미국 우주항공국(NASA)과 동아시아권 토양 속 수분의 분포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한 공동연구 수행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금) 밝혔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NASA의 토양습도측정위성(SMAP,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위성 임무의 캘리브레이션(정밀도 조정) 및 위성영상전처리시스템(CAL/VAL Processor) 파트너십 구축 ▴SMAP 위성 미션에 필요한 데이터 검증 및 공동연구, 훈련 프로그램에 GIST 참여 등이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 Soil Moisture Active Passive(SMAP): 가뭄, 홍수 등의 예측을 도와 지구의 에너지 순환과 농업을 돕기 위해 만든 위성으로, 지름 6m의 회전형 안테나가 분당 15회 회전하며 지표면에 마이크로파를 보내, 상부 5㎝의 땅이 보유한 수분의 양을 파악해 데이터를 얻는다.

이 데이터는 2~3일마다 업데이트되며 농가에서 저수지의 물을 끌어오는 일이나, 작물의 이식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번 협약으로 GIST는 ▴NASA가 제공하는 장비를 설치·운영하고 ▴향후 5년간 동아시아권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NASA에 전달하는 한편 관련 연구를 수행하게 되며 NASA는 연구장비 설치를 위해 내년 3월경 관련 연구·기술자를 GIST에 보낼 예정이다.

NASA와의 MOU 체결을 주관한 환경·에너지공학부(학부장 이윤호)는 지구 전체의 토양수분 측정을 위해 NASA가 지난 2015년 쏘아 올린 SMAP 위성이 보내오는 데이터를 교정·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NASA 측과 긴밀히 교류해 왔다.

 또한 지난 10월 8일에는 NASA·제트추진연구소(JPL) 소속 과학자 4명을 초청해 NASA의 토양수분 관측 위성 관련 연구와 임무를 소개하는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향후 GIST에서 정기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