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의과대학 조재호 교수 연구팀은 화순전남대병원 호흡기내과 오인재 교수 연구팀과 기초-임상 협업을 통해 폐암 환자의 혈액 내 면역세포에서 STAT3의 ex vivo 인산화 (pSTAT3ex vivo)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폐암을 조기 진단하고 면역항암치료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고 27일 밝혔다. 

왼쪽부터 김영주 박사과정생(제1저자), 조재호 교수(교신저자), 오인재 교수(교신저자), 이성우 박사(제1저자)
왼쪽부터 김영주 박사과정생(제1저자), 조재호 교수(교신저자), 오인재 교수(교신저자), 이성우 박사(제1저자)

연구팀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와 건강한 사람의 혈액 내 면역세포에서 pSTAT3ex vivo 발현을 새롭게 개발한 방법으로 측정했으며 건강한 사람과 달리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암의 초기 단계부터 pSTAT3ex vivo가 매우 높게 발현됨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pSTAT3ex vivo 발현은 혈액 내 염증성 인자인 IL-6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연구팀은 IL-6와 pSTAT3ex vivo의 관계를 분석해 면역세포가 IL-6에 기존 보고보다 1000배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실을 규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IL-6 농도만으로는 제한적이며 예측이 부정확했던 면역항암치료 반응 사이의 관계를 pSTAT3ex vivo를 통해 새롭게 정립했다. 

전남대 의대 공동연구팀, '폐암 조기진단' 면역항암치료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전남대 의대 공동연구팀, '폐암 조기진단' 면역항암치료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조재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혈액 내 염증성 인자가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한 조기 암 진단, 수술 후 재발 진단 및 면역항암 치료 반응 예측 등 다양한 확장성을 갖는 바이오마커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지원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기초연구사업(복합암면역치료센터) 및 원천기술개발사업(면역치료혁신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캔서 커뮤니케이션스’(Cancer Communications) 11월 20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