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장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
전남 담양군(군수 이병노)은 지난 3일(현지시각)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고 밝혔다.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19차 무형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콩을 발효해 된장과 간장을 만들어 먹는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가 한국 전통음식 문화로는 2013년 김장문화에 이어 두 번째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는 쾌거를 올렸다.
담양군은 (재)담양군문화재단, (사)한국 전통장 보존연구회 관계자와 함께 이번 위원회에 참석해 인류무형유산 등재 결정의 순간을 함께했다.

특히 담양군의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35호(진장 제조 가공) 기순도 명인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국제무대에서 담양 전통 장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기순도 명인은 위원회 회의 이후 참석자들에게 한국의 장맛을 선보이며 370년된 씨간장으로 담근 고추장과 된장을 선물하기도 했다.
이병노 담양군수는 “영산강 시원의 맑은 물과 직접 구운 죽염을 사용한 기순도 전통장은 이미 미국, 프랑스 등에 수출되며 K푸드의 유행을 이끌고 있다”며 “이번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발판 삼아 한국 고유 장을 연계한 관광‧문화산업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담양군, 명품 딸기... "해외 재배 네트워크 구축한다"
- 담양군, '2025년 노인일자리사업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 담양군, 사랑나누기 행복더하기 육아용품 나눔장터 운영… 출산‧양육 가정 부담 절감
- 영화에서 보던 피아노 배틀, 담양서도 선보여
- 담양군 한국대나무박물관 갤러리, 지역 문화 예술 전시 활동 지원
- 담양군, ‘세계 에이즈의 날’ 맞아 예방 캠페인 실시
- 담양군, ‘2025년 겨울방학 대학생 인턴사업’ 참여자 모집
- 담양군,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확대 … 횟수와 연령 제한 등 완화
- 담양군, '겨울철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 기간 운영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