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고용 양극화, 디지털 양극화의 관계

빅데이터 사용 기업 비중의 양상은 사뭇 달랐다. 대기업은 47.7%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6위를 기록했으며, 중소기업은 12.2%로 20개국 중 10위를 기록하며 중간 수준에 머물러...<본문 중에서>
빅데이터 사용 기업 비중의 양상은 사뭇 달랐다. 대기업은 47.7%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6위를 기록했으며, 중소기업은 12.2%로 20개국 중 10위를 기록하며 중간 수준에 머물러...<본문 중에서>

세계 상위권 디지털 경쟁력...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IMD, EIU, CISCO 등 해외 주요 기관의 세계 디지털 경쟁력 비교 자료를 분석했다. 한국의 경우 IMD의 디지털 경쟁력 순위(World Digital Competitiveness)64개국 중 12, EIU의 포용적 인터넷 지수(The Inclusive Internet Index 2021)에서 120개국 중 11, CISCO의 디지털 준비지수(Digital Readiness Index 2019)에서 141개국 중 8위를 차지했다.

IMD의 디지털 경쟁력 순위는 지식, 기술, 미래 대응력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채택하고 탐색하는 국가의 능력을 측정한다. EIU의 포용적 인터넷 지수는 접근성, 경제성, 관련성, 대응능력 등을 바탕으로 한 국가에서 인터넷의 접근가능성, 수용성, 사회경제적 관련성의 정도를 포괄적으로 측정한다. CISCO의 디지털 준비 지수는 기본적 사회 여건, 기업·정부 투자, 경영 환경, 인적 자본, 창업 환경, 기술 채용성, 기술 인프라 등 7개 항목을 기준으로 디지털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준비 및 대응 수준을 평가한다.


세계 최고 디지털 접근성, 그러나...


한국은 OECD 국가 가운데 인구 100명당 100Mbps 이상 고정 광대역 가입자 수40.0명으로 가장 높았다. 고품질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이다. 그러나 기업의 디지털 활용 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는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낮은 편으로 분석됐다.

대기업(250인 이상, Eurostat 기준)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은 46.5%,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최하위였다. 중소기업은 24.5%20개국 가운데 19위를 기록했다. 이커머스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 비중 역시 대기업은 20개국 중 17위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은 그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음에도 조사대상국 중 11위를 차지했다.

빅데이터 사용 기업 비중의 양상은 사뭇 달랐다. 대기업은 47.7%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6위를 기록했으며, 중소기업은 12.2%20개국 중 10위를 기록하며 중간 수준에 머물렀다.

한경연은 이처럼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기업과 비교했을 때 뒤처지는 이유로 우리나라의 고령화와 디지털 양극화 등을 꼽았다.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60세 이상 종사자 비율이 높으며 그 격차는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령대를 기준으로 한 디지털 양극화는 한국이 OECD 최고 수준이다. 그만큼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 고령층 종사 비율의 격차가 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속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했다.


디지털 양극화 완화를 위해서는


조경엽 한경연 경제연구실장은 보조금이나 대출 등 단기적이고 금전적인 부분에 치중하지 않고 디지털 기술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 대응책이 필요하다라고 언급했다. 그간 우리나라의 ICT 기술 교육 및 훈련에 투자하는 비율은 외부 경기 상황에 따른 변동이 큰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고령화 시대에 직면해 세대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고령층에 대한 디지털 적응도를 집중적으로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디지털 양극화만 문제인가?


디지털 기술 적응에 대한 지속적 대응책 마련에는 찬성하는 바이나, 그것이 과연 근본적 해결책인지는 의문이 남는다. 앞서 언급한 디지털 양극화는 애초에 고용 양극화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고령층의 디지털 적응도를 높이는 것은 디지털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으며, 디지털 양극화 문제가 아니더라도 우리 경제 전반을 위해 필요하다. 다만 고령층과 중소기업이 디지털 적응도를 높이는 동안 청년층과 대기업이 제자리에 머무를 것이라는 예상은 애초부터 아무도 하지 않을 것이다. 결국 핵심은 고용 양극화의 해소다. 앞으로 양질의 고용 양극화 해소 정책이 산업의 균형 발전으로 연결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