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사자 석등 제자리 찾기를 위한 보존·안전 관리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
전남 광양시는 지난해 12월 석등 제자리 찾기 사업을 고향사랑기부제 제1호 기금사업으로 선정하고 범시민 서명운동을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70여 개 시민단체와 150여 명 시민의 참여로 첫발을 내디딘 서명운동은 읍면동사무소, 광양시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진행됐으며 추진위원회와 사회단체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6개월 만에 5만 명의 서명을 확보했다.
국보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제자리 찾기 추진위원회는 지난 10일 시민의 염원을 담은 서명서와 건의문을 국립중앙박물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박두규 공동위원장은 “국가유산은 원래 자리에 있어야 그 의미와 가치가 빛난다, 우리 시민들은 광양의 유일한 국보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하루빨리 석등이 돌아오길 바란다”며 쌍사자 석등 제자리 찾기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측은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을 원위치로 이전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안전을 위한 관리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며 “석등 원위치에 대한 고증 및 발굴조사와 원위치를 사적지 수준으로 관리하는 등 국보에 대한 안전이 우선 담보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에 광양시 관계자는 “현재 원위치에 대한 시굴조사 중에 있다, 사실적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향후 보존·관리 대책을 마련하는 등 제자리 찾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광양시, ‘2024 가을 콘서트’ 개최… 가수 구창모 등 공연 예정
- 광양시 대표단, 랭리타운쉽 방문해 ‘우호도시’ 체결 위한 기틀 마련
- 광양시, '섬진강 둔치 파크골프장 개장식' 개최
- ‘꼼수 체납자 설 곳 없다’ 광양시, 차량 견인‧공매 등 ‘철퇴’
- 광양시, 진상면 창원마을 ‘생활여건 개조사업’ 준공식 개최
- 광양시 ‘장애인 일자리 박람회’, 현장 면접 통해 ‘40여 명’ 채용한다
- 광양전통숯불구이축제, 다회용기 사용으로 폐기물 감소 효과 ‘톡톡’
- 광양시, 2024년 공공비축미곡 본격 매입
- 시민과 함께한 ‘광양원님 행차재현행사’, 숯불구이축제의 서막 열다
- 광양시,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산업' 활성화 포럼 개최
- 광양시, ‘지자체 간 연대 강화’로 지방소멸 극복 앞장서
유정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