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산업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광융합 기술 세미나
한국광기술원(원장 신용진)은 광융합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재난 예측·예방 및 의료기기 산업 분야의 기술 동향과 기업 지원 전략을 공유하는 광융합 기술 세미나를 오는 25일(화) 양산시청 비즈니스센터에서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잦은 자연재해와 고령화의 심화로 인해, 재난 및 건강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지능형 광센서 기반의 감지·분석 시스템, 실시간 통합 대응 플랫폼 등은 국가 재난 대응 및 의료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광기술원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광융합 핵심 모듈 기술의 고도화는 물론, 재난 대응 및 의료기기 분야에 특화된 혁신기술의 실용화를 통해 국민의 안전과 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중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 양산시의 지원을 받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의 일환인 ▲광섬유 기반 고정밀 계측 센서 개발 및 실용화 기반 구축 ▲다중영상 융합 진단 신경중재 치료기기 개발 기반구축과 연계해 마련됐으며 기술개발 성과와 산업 현장의 수요를 연결하는 협력의 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세미나에서는 ▲단일광자 기술 ▲광 기반 신경중재 의료기기 기술 ▲재난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양한 광응용 기술의 산업 적용 가능성과 미래 전망이 발표된다. 이를 통해 기업과 연구기관 간의 기술협력 및 상용화 촉진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연사로는 한국전력공사 강희운 차장,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차아름 연구사,(주)파인트코리아 성룡 대표, 양산부산대병원 김정수 교수 등이 참여해, 각 기관의 기술개발 경험과 응용 사례를 공유하고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김정호 한국광기술원 광센서실용화연구센터장은 “광융합 기술은 대면적·장거리 센싱과 고분해능이라는 특성을 바탕으로, 터널·철도·전력·통신·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며 “특히 디지털 SOC 기반의 재난 대응 및 정믈의료 기술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으로, 한국광기술원이 이러한 미래지향적 기술개발의 허브 역할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한국광기술원-우즈베키스탄 치르치크시, 광융합기술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 한국광기술원, '우즈베키스탄과 차세대 기술협력' 체계 구축
- 한국광기술원 – 해군 미래혁신연구단, 민·군 기술 협력 위한 양해각서 체결
- 한국광기술원, '국내 최초 6인치 LiTaO3 단결정 성장' 성공
- 한국광기술원, 안성 반도체장비 소재·부품 실장평가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 한국광기술원-한국결정성장학회, 연구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한국광기술원, 한-리투아니아 레이저기술 협력 선도
- 한국광기술원, 조명 분야 국제표준 선도... 2025 IEC 1906 Award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