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별 해킹시도 건수, 한국관광공사(11.8%) 한국문화정보원(9.8%) 국립중앙도서관(9.6%) 순
문체부 소속・공공기관 10곳 중 6곳 보안 전담인력 1명 뿐… 이마저도 대부분 겸직
민형배 의원, “국・내외 불문 해킹 공격시도 급격히 증가, 철저한 대비책 마련 필요”
최근 5년간, 문화체육관광부 및 산하기관에 대한 해킹 공격시도가 5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문체부 및 산하기관 해킹 공격시도 현황’자료에 따르면, 문체부 및 소속・공공기관 48개에 대한 해킹 공격시도는 2019년 3,916건에서 지난해 1만 9,460건으로 5배 가까이 늘었다. 이미 올해 8월까지도 1만 2,334건이 적발됐다.
기관별로는 한국관광공사 해킹 시도건수가 가장 많았다. 지난 5년간, 한국관광공사 해킹 시도건수는 7,812건으로 전체의 11.8%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한국문화정보원(9.8%), 국립중앙도서관(9.6%), 한국저작권위원회(6.3%), 한국언론진흥재단(4.9%) 순으로 집계됐다.
해킹시도는 늘었는데 관리인력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다. 문체부 및 소속・공공기관 48곳 중 31곳은 사이버보안 전담인력이 단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 중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대한체육회 등 26곳은 보안 전담인력이 다른 직과 겸임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를 분석한 민형배 의원은 “행정・공공기관 등은 대량의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더욱 철저한 보안시스템과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고 지적하면서 “관리인력 확보 등 철저한 대비책 마련으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한편, 해킹 시도를 국가별로 보면, 최근 5년간 중국 내 IP 공격시도가 14,516건인 23.1%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미국 10,520건(16.7%), 네덜란드 2,687건(4.2%), 독일 2,580건(4.1%) 순이다.
- 강준현 의원, 올해 3개월도 안 남았는데 ‘국가유공자 이동지원’ 예산 집행률 0%
- [미국 대선_톺아보기] 트럼프, 맥도날드서 '일일 알바' 체험하며 "해리스는 여기서 일한 적 없다" 주장...맥도날드는 정치적 중립 선언
- 유상범 의원, “평창군, 산림청 취약지역 인프라 확충사업 최종 선정”
- [뉴스워커_경영레이다 30] 현역가왕2 콘서트 판권 두고 IP분쟁... 크레아스튜디오 VS nCH엔터 속사정은?
- [내일날씨]아침은 9도 한낮은 24도...널뛰는 환절기 날씨 언제까지
- GIST 물리·광과학과 한정우 박사, 전남대학교 물리교육과 조교수 임용
- AI로 만나는 새로운 콘텐츠 세상’... 한국콘텐츠진흥원, AI콘텐츠 페스티벌 2024 개최
- 아르코 무용기획제작 ‘아르코 댄스&커넥션’ 4작품 4무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