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예식장 평균비 21% 뛰었다, 회당 1200만원
![대부분 바가지요금을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비싼 결혼상품이지만 불투명한 가격이라는 내용의 민원이 다수 접수됐다.주된 민원 내용을 살펴보면, 웨딩플래너가 제시하는 스드메 총금액표를 받더라도 각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항목별 가격이 공개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예식장 비용을 정가보다 2~3배 비싸게 안내하고 이를 할인가격으로 제시하거나, 위약금을 과도하게 책정하는 경우도...[본문 중에서]](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10/353518_365745_1655.jpg)
저출생 극복이 최대 국정과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출산의 시작인 결혼부터 높은 장벽에 부딪치고 있다. 1200만 원이 웃도는 예식비용, 추가금 및 끼워팔기 같은 웨딩업계의 관행으로 인해 예비신혼부부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결국, 정부가 나서 결혼상품 가격을 고시하고 공공예식장을 확대하겠다고 나섰지만 지자체와 웨딩업계는 지역경제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중국 MZ세대의 스몰웨딩이 현지언론에 보도되면서 기존 예식문화에 대한 이탈 조짐이 일고 있다.
‘결혼=돈’ 심화... 헬퍼·꽃값·시착 등 추가비 난무
결혼정보회사 듀오에 따르면 올해 평균 예식장 비용은 1283만 원으로 전년(1057만 원) 대비 21% 증가했다.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을 뜻하는 일명 스드메 비용도 360만 원으로 같은 기간 8% 올랐다. 이에 대해 웨딩업계는 물가 및 인건비 상승의 영향이 반영됐다고 설명한다.
상품별로 따라붙는 ‘추가금’ 관행이 여전히 논란이다. 예비신부의 경우 드레스 시착만으로 회당 5~10만 원 정도 비용이 발생하며 메이크업도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에 따라 얼리(early) 또는 레이트(late) 비용이 추가로 붙는다. 신부 옆에서 드레스와 메이크업을 케어해주는 헬퍼 이모의 수당도 20~30만 원 부담해야 한다. 예식홀 장식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인데 생화 장식의 경우 2000만 원이 넘는 곳도 있다.
드레스 시착이나 헬퍼 수당 등 일부 서비스에 대해 현금 결제만 요구하는 업체도 적지 않다. 현금을 봉투에 담아서 달라고 요청한 곳부터 현금영수증을 거부하는 업체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현금 결제는 별도 내역이 남지 않아 결혼식의 대표적인 ‘애먼 돈’으로 불리고 있다.
업체별로 상품 및 서비스 비용이 상이하다 보니 발품을 파는 예비부부 외에는 시간상 웨딩플래너에게 맡기는 경우가 흔하다. 명세서를 받게 되더라도 가격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실상 고지받은 범위 내에서만 선택해야 한다. 업체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는’ 결혼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바가지요금 불편 민원 잇따라... 결혼 장벽 ‘웨딩플레이션’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3월 웨딩업계 소비자 불편 민원은 약 1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최근 3년간 접수된 웨딩업체 관련 민원만 1000건을 넘어섰으며 대부분 바가지요금을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비싼 결혼상품이지만 불투명한 가격이라는 내용의 민원이 다수 접수됐다.
주된 민원 내용을 살펴보면, 웨딩플래너가 제시하는 스드메 총금액표를 받더라도 각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항목별 가격이 공개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예식장 비용을 정가보다 2~3배 비싸게 안내하고 이를 할인가격으로 제시하거나, 위약금을 과도하게 책정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식장 대관료에 본식 사진촬영을 끼워파는 행태도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식대 보증인원에서 대인만 포함하고 소인(아동)은 제외해 별도 추가금을 내거나 소인 식권이 없어 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례도 있었다. 최근 결혼식에 하객으로 참석한 A씨는 “소인 식권이 없어서 직원에게 문의하니 보호자의 성명과 핸드폰번호를 적어야 한다고 하더라”며 “개인정보가 민감한 시대에 식권 대신 이렇게 하는 게 맞는거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웨딩플레이션(웨딩+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며 결혼비용 상승이 미혼자의 결혼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5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결혼·출산·양육 인식조사>에 따르면, 만 25~49세 미혼 인구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없는 사유 중 80.8%가 결혼식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가격표시제’ 방안 내달 발표... 스몰웨딩 분위기도 스멀
기획재정부는 결혼서비스 가격표시제도의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결혼서비스 지원방안을 내달 발표할 예정이다. 기존의 결혼중개업과 다른 결혼서비스업을 신설하고 웨딩플래너를 통한 가격공시제를 도입한다는 의견이 유력하다. 그러나 웨딩플래너 없이 개별적으로 업체를 선정하는 예비부부들은 가격표시제의 혜택을 누릴 수 없는 반면, 영세업자는 가격공시로 인해 중대형업체와의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자체와 업계에서 지역경제 균형을 이유로 가격표시제를 반대하는 이유다.
가격표시와 더불어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예식장 확대에도 제동이 걸렸다. 공공예식장은 예식 비용을 시중 대비 저렴하게 책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역 내 소규모 웨딩업계가 손해를 볼 수 있어 자유시장에 위배될 수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한편, 계속되는 웨딩비용 고물가에 스몰웨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몰웨딩은 하객 수를 줄이고 저렴한 식대와 간소화된 예식으로 비용을 아끼는 결혼식이다. 아직 국내에서 진행된 사례는 드물지만 MZ세대가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스몰웨딩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MZ세대가 기존 결혼문화를 거부하고 맥도날드나 훠궈식당에서 50만 원 내외로 스몰웨딩을 올리는 사례를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웨딩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 중국처럼 작은결혼식 문화로 이행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한다.
- [뉴스워커_이슈] 4년 만에 재점화된 ‘반려동물 보유세’ 당신이라면?
- 충격 주는 중국산 알몸 배추 논란...먹을까?
- [뉴스워커_시사] “매달 10만원 내세요~국장님 점심 대접비”..9급 공무원 사비 털어 대접
- [시사 기획_대출 난민②] 버티고 버티다 보면... 내 집 마련 가능할까 - 버팀목과 디딤돌
- [시사 기획_대출 난민③] 정부가 주는 햇살과 따가운 시선 - 햇살론과 소액생계비대출
- [시사 기획_대출 난민④] 아기 낳으면 내 집 마련 도와드릴게요... 정책대출 잭팟 ‘신생아특례대출’
- [이슈 사회] 108억 아파트 매입자 20대..부모찬스 금수저 늘었나
- [시사 이슈] 조두순 사건부터 신촌 묻지마 폭행까지..술 취하면 감형? ‘주취감경 폐지’ 주장 재점화
- [뉴스워커_시사 이슈] 1억9천만원 걸고 바카라한 16살... 당신의 자녀도 도박 중독?
- 날로 악랄해지는 보험사기 수법 들여다보니..100명 가담한 보험사기부터 실손 빼먹는 의료쇼핑까지
- 저출산이 낳은 ‘폐교’ 4000곳 달해... 고령시설 전환만이 답일까
- 75세까지 일해야 살아남을까? 정년 연장의 두 얼굴
- 300만원 줘도 안온다... 외국인으로 채워지는 제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