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계절이라 하지만 지하철에서 책을 들고 있는 사람은 찾기 쉽지 않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인의 생활시간 변화상'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독서 시간은 6분(평일 기준)에 불과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15년 펴낸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의 연간 독서율은 65.3%다. 직전 조사 기간인 2013년보다 6.1% 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연간 독서율이란 지난 1년 동안 일반 도서를 1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

책을 읽는 사람은 점점 줄고 있다. 1994년 당시 86.8%였던 성인 독서율은 꾸준히 감소해 2010년에는 처음으로 70% 아래로 내려갔다. 2015년에 기록한 65.3%는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도 한국의 독서량은 낮은 편에 속한다. OECD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한국의 연간 독서율은 74.4%로 평균(76.5%)에 못 미친다.

연간 독서량이나 도서관 이용률, 독서 시간 역시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국민도 이런 사실을 자각하고 있다. 성인의 64.9%는 자신의 독서량이 부족하다고 답하기도 했다.

▲ 화명 숲속도서관 내부

책 읽는 사회를 위해서는 책 읽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먼저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책 읽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을 꼽는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은 32.9%가 "지역의 독서 환경 조성"이라고 답했다. 구립이나 시립 등 공공도서관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책 읽는 직장 만들기"(15.4%), "좋은 책의 발행과 보급 지원"(19.0%)보다도 많은 비율이다.

실제로 독서량은 도서관의 이용률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연평균 독서율(종이책 기준)은 94.5%로 비 이용자(53.9%)보다 훨씬 높았다. 연평균 독서량도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19.7권으로 비 이용자(5.0권)보다 4배 가까이 많았다.

선선해지는 가을주말에 도서관으로 나들이를 가 보는 것은 어떨까.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