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_뉴스워커 AG1팀>
배달공구와 같은 새로운 소비 경향을 초래한 배달료 인상은 지난달부터 가속 페달을 밟았다. 배달대행업체들이 속속 수수료를 500~1000원 가량 인상하면서, 지난해 평균 3300원이던 수도권 기본 배달대행료가 5000원 수준으로 51.5% 올랐다...<본문 중에서 / 그래픽_뉴스워커 AG1팀>

코로나시국에 확산된 음식배달 문화는 배달 공동구매라는 또 다른 흐름을 낳았다. 배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배달료도 대폭 올랐고, 부담이 커진 배달비를 나눠 내는 새로운 문화가 생긴 것.

최근엔 한 아파트 주민 사례가 온라인상에 화제를 모았다. 아파트 입주민들이 배달음식을 같이 주문하고, 배달비는 가구당 각출해 배달료를 절약한 일례다.

소비자 입장에서 배달비를 방어하는 대책이 된 셈인데, 업주의 배달부담액도 적어지니 일석이조라는 평가도 이어졌다. 이처럼 지역 커뮤니티나 메신저 오픈 채팅방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합심해 배달을 공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배달음식이 일종의 식문화로 자리 잡았지만, 무섭게 치솟은 배달료에 소비자 대처 등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일고 있다.


치솟은 배달비, 소비자 대처도 각양각색공생액션·불매까지


같은 주민끼리 자율적으로 배달료를 분담하는 움직임이 확산됐다면, 이 같은 배달공구를 돕는 모바일 앱까지 등장했다. 배달비 절약을 위해 모인 소비자들의 편의를 돕는 모바일상 커뮤니티로, 시대가 개척한 틈새시장과도 같다.

이를 두고 소비자 일각은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다. 서울 중구에 거주하는 A(35)불편함을 참지 못하는 국민성이 치솟은 배달비 극복을 위해 자구책을 마련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갈수록 오르는 배달료에 대한 소비자 원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배달공구를 포함한 포장주문 등 공생 액션에서 배달음식 끊기까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방책이 마련되고 있다.

서울 성동구에 거주 중인 B(35)는 최근 포장주문을 애용하고 있다. 그는 퇴근시간에 맞춰 가게에 미리 주문하고, 집에 가는 길에 들러 챙기면 된다면서 포장주문을 하면 내가 직접 음식을 받는 거니 배달 과정에서 믿을 수 없는 부분이 생략된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배달음식을 전적으로 중단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외출을 삼가게 되자 배달음식을 이용하는 소비 경향이 늘었지만, 배달비 부담이 날로 커져 아예 불매를 선언한 것.

이 같은 배달 끊기 챌린지나 포장주문 확산은 또 다른 생활문화를 낳았다. 포장주문 시 음료는 텀블러에, 음식은 찬합에 담아 오는 사례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행동이 됐고, 음식 배달 대신 식재료를 사와 집에서 직접 요리하는 소확행사례도 이어졌다.


배달비 공시제 실효성은 과연수요 못 따라가는 배달 공급


배달공구와 같은 새로운 소비 경향을 초래한 배달료 인상은 지난달부터 가속 페달을 밟았다. 배달대행업체들이 속속 수수료를 500~1000원 가량 인상하면서, 지난해 평균 3300원이던 수도권 기본 배달대행료가 5000원 수준으로 51.5% 올랐다.

배달 거리, 배달이 몰리는 시간, 악천후 등에 따라 일부 지역에선 할증이 적용돼 7000원에서 많게는 9500, 배달비가 1만원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지난달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배송·배달서비스 관련 국민인식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 2115명 중 53.4%는 배달료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지불 의향이 있는 배달료 최대금액은 ‘1000원 이상 2000원 미만45.5%로 가장 높았다. 배달료 현황과는 매우 큰 간극을 보인 셈.

정부는 날뛰는 배달비를 잡는다는 취지로 배달비 공시제라는 처방을 내놨다. 이달 말부터 시행될 배달비 공시제를 통해 배달 플랫폼별 배달비 정보가 매달 1회씩 한국소비자원과 소비자단체협의회 홈페이지에 제공된다. 각 배달앱에서 업주들이 설정한 배달료를 소비자물가 공개하듯 한번에 보여 주는 시스템이다.

상대적으로 배달료가 낮은 곳을 소비자가 선호할 테니 판매자들 간 가격 완화 경쟁을 유도한다는 판단인데, 일각에선 실효성은 글쎄반응이다. 배달비 형성엔 변수가 많기에 단순 정보 제공으로 배달료 인하를 이끌어 낸다는 건 비약이란 것.

공시 배달비가 오히려 하한선 역할을 해 그보다 낮은 금액으로 돌이킬 수 없다는 우려다. 지난달 이미 오를 대로 올라 공시제가 뒷북을 쳤다는 평가도 있다.

업계에선 배달 인력이 급증한 배달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을 지적했다.

배달 관계자는 배달 플랫폼에선 단건 배달로 이뤄진다. 주문 수요는 많은데, 배달 인력 부족으로 기사들 몸값만 높아져 배달비가 치솟는 실정이라고 언급했다.

배달비 공시제가 소비자 선택에 참고용은 되겠지만, 배달료 수준을 한번에 보여 주는 것 이상의 배달비 인하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배달 인력을 끌어모을 자금력이 뒷받침돼 수요에 맞는 배달기사 공급이 이뤄지는 방향이 근본 대책일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